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GEO DATA : GEO DATA

OPEN ACCESS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GEO DATA > Volume 5(4); 2023 > Article
Original Paper
충청·전라 권역 해안사구의 외래종 및 생태계교란식물 분포 현황
이성훈1orcid, 강지현2,†orcid, 황현수1,*orcid
The Study of Distribution for the Flora of Alien Species and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on Coastal Sand Dune in Chungcheong to Jeolla Region, South Korea
Seonghun Lee1orcid, Jihyun Kang2,†orcid, Hyun-Su Hwang1,*orcid
GEO DATA 2023;5(4):262-272.
DOI: https://doi.org/10.22761/GD.2023.0031
Published online: December 20, 2023

1전문위원, 국립생태원 보호지역팀,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금강로 1210, 33657, 대한민국

2전임연구원, 국립생태원 보호지역팀,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금강로 1210, 33657, 대한민국

1Research Fellow, Specific Protected Area Research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1210 Geumgang-ro, Maseo-myeon, Seocheon-gun, 33657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2Researcher, Specific Protected Area Research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1210 Geumgang-ro, Maseo-myeon, Seocheon-gun, 33657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Corresponding Author Hyun-Su Hwang Tel: +82-41-950-5696 E-mail: hhs1124@nie.re.kr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 Received: September 11, 2023   • Revised: November 3, 2023   • Accepted: November 23, 2023

Copyright © 2023 GeoAI Data Socie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 524 Views
  • 38 Download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coastal sand dunes flora of vascular plants in Chungcheong to Jeolla region based national coastal dune natural environment survey from 2018 to 2019. In the study area, a total 631 taxa, consisting of 119 family, 372 genera, 566 species, 8 subspecies, 50 varieties, and 7 forma, were found. Among them, there were 95 taxa with 23 family, 66 genera, 99 species and 5 varieties as alien species. The number of alien species ranged from 7 to 45 on each coastal sand dune. The largest number was recorded in Sinjimyeongsa dune, while the lowest was in Namujeon dune. Moreover,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had mainly existed on Sinhap dune. Japanese hop (Humulus japonicus) were distributed most widely on 17 coastal sand dune, and bur cucumber (Sicyos angulatus) was only found on Sinhap dune. The spatial status of flora of coastal sand dune in our data can be basic ecological information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coastal dune plant species diversity.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대부분의 사빈 배후에 해안사구가 발달해 있다(Choi and Kong, 2020). 해안사구는 해빈과 간석지의 모래바람에 의하여 형성된 언덕이다(Choi, 2019a). 해안사구는 해빈과 간석지로부터 바람에 의해 유입된 모래를 저장하였다가 폭풍이나 해일과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하였을 때 유실된 모래를 해빈과 간석지로 되돌려주는 모래의 저장고이자 천연 해안제방 역할을 한다(Polidorou and Evelpidou, 2021; Sigren et al., 2014). 구릉 형태의 해안사구는 지하수면을 높여 배후지역에 생활·농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담수를 공급하고 바닷물과의 밀도차에 의해 바닷물이 육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육상의 담수 생태계를 보호한다(Dang et al., 2021).
해안사구는 해빈, 전사구, 사구저지 등 미지형적 환경의 차이로 인해 식물상의 구성에 차이가 발생하며 그에 따라 해안사구에서 사구 식물상에 관한 조사는 전수조사를 필요로 하는 등의 원인으로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한다(Kim et al., 2022a; Kim et al., 2022b). 또한 계절별로 모래의 이동과 강수에 따라 사구 식물의 분포와 생장이 달라져 시기별로 연속적인 현장조사가 필요하다(Kim et al., 2022a). 이러한 관점에서 다양한 지역의 사구 식물 현황에 대한 조사 자료는 큰 가치가 있다. 해안사구는 토양 내 수분이 충분하지 않아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유지된다(Choi, 2019a). 건조한 토양, 강한 바람, 온도 등 극한 환경에 노출되는 사구 식생은 환경 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Kim et al., 2022b).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통보리사초, 좀보리사초, 갯그령, 갯쇠보리, 순비기나무, 해당화 등 해안사구에서만 볼 수 있는 사구 식물들이 존재한다(Beon and Oh, 2006; Choi, 2019a). 하지만 해안 개발로 인해 침식, 간척, 매립 등의 교란이 발생하고 있으며 관광객의 급증으로 인해 사구 내에 인위적인 간섭이 증가하고 있어 사구 식물이 감소하고 있다(Park et al., 2020). 사구 식물이 감소한 자리에는 개망초, 달맞이꽃, 환삼덩굴과 같은 외래식물과 생태계교란식물이 활착하여 사구 식물의 종 구성을 파괴하고 해안사구 생태계의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Choi, 2019a; Choi, 2019b).
외래식물은 국외에서 국내로 자연적 혹은 인위적으로 유입되어 자라는 식물을 말하며 생태계 균형의 교란을 야기하는 식물은 생태계교란식물이라 부른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9). 이러한 식물들은 자생종의 서식지에 침입하여 생육지를 파괴하고 생태계 교란을 불러일으킨다. 이로 인해 생물다양성이 감소하고 경관이 훼손되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Kang et al., 2020).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구 식물 분포 현황을 조사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구축하고 앞으로의 변화를 예측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안사구에 서식하고 있는 외래식물과 생태계교란식물 분포 현황을 파악하여 공개함으로써 서식지 교란으로 감소하고 있는 사구 식물의 체계적인 보전, 효율적인 관리, 종 다양성 보존을 유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데이터는 국립생태원에서 2018년부터 수행하고 있는 전국 해안사구 자연환경조사로부터 구축되었다. 전국 해안사구 자연환경조사는 우리나라에 형성된 해안사구의 지형 경관, 식생, 동식물상 등을 조사하여 해안사구의 공간적 특성, 생태현황데이터를 축적하고 우수한 사구를 보전 지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사구의 생태계 변화 및 훼손 현황을 파악하여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23).
전국 해안사구 자연환경조사를 수행하기에 앞서 2017년 국내 해안사구 일반현황조사 및 관리개선방안 마련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 전국 189개 해안사구에 대한 현황(지형, 식생 및 시설물 현황, 이용 강도 등)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안사구의 자연환경적 지표와 사회경제적 압력지표를 도출하였고, 이를 조합하여 4개의 관리 유형(A, B, C, D)을 제시하였다. 이 중 해안사구의 건강성이 좋고 사회경제적 압력이 낮은 A유형과 건강성은 좋으나 사회경제적 압력이 높은 B유형에 포함되는 총 73개의 해안사구에 대해 자연환경조사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시행된 충청·전라 권역 전국해안사구 자연환경조사의 식물상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조사 지역에서 관속식물상을 확인하고 그중 외래 식물과 생태계교란식물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조사 지역은 총 22개 사구로, 충청 권역은 꽃지사구, 독산사구, 사목사구, 소황사구, 신합사구, 열목사구, 원산사구, 중장사구 등 8개, 전라 권역은 금일명사사구, 남열사구, 남우전사구, 대광사구, 덕산사구, 도찬리사구, 서방축사구, 송종사구, 송호사구, 신지명사사구, 어머리사구, 우전사구, 월송사구, 장선사구 등 14개이다(Fig. 1).
현장조사는 도보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관속식물의 종명, 위치 정보, 생육 환경 등을 현장에서 조사표에 기록하였다. 현장에서 동정이 어려운 관속식물은 세부 사진을 촬영한 후 재동정하였으며 일부는 채집하여 표본으로 제작 후 재동정하였다. 식물의 동정 및 분류는 Lee (1996), Lee (2003), Korea Fern Research Society (2005),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Cho et al. (2016)을 참고하였으며, 식물의 분류 체계는 한반도 관속식물 속식물지(Park, 2007)를 따랐다. 학명과 국명은 국가생물목록집-관속식물(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9)을 참고하였으며, 외래식물은 Park (2009)Lee et al. (2011)의 목록을 참고하였다.
충청·전라 권역의 22개 사구에서 양치식물은 8과 9속 15종 2변종 등 총 17분류군, 나자식물은 2과 4속 8종 등 총 8분류군, 피자식물은 109과 359속 543종 8아종 48변종 7품종 등 총 606분류군을 확인하였으며, 전체 119과 372속 566종 8아종 50변종 7품종 등 총 631분류군이 나타났다(Table 1).
조사 지역에서 외래식물은 23과 66속 90종 5변종 등 총 95분류군이 나타났고(Appendix 1), 생태계교란식물은 5과 7속 7종이 나타났다(Appendix 2). 생태계교란식물은 가시박, 돼지풀, 물참새피, 미국쑥부쟁이, 서양금혼초, 애기수영, 환삼덩굴이 발견되었다. 이 가운데 환삼덩굴을 제외한 6종은 외래식물이다. 외래식물은 국화과(Asteraceae)가 30분류군으로 가장 많았고, 벼과(Poaceae) 17분류군, 콩과(Fabaceae) 9분류군, 십자화과(Brassicaceae)와 마디풀과(Polygonaceae)가 6분류군, 명아주과(Chenopodiaceae)와 메꽃과(Convolvulaceae)가 3분류군, 나머지는 2분류군 이하였다(Appendix 1). 생태계교란식물은 국화과(Asteraceae)가 3분류군으로 가장 많았고 마디풀과(Polygonaceae), 벼과(Poaceae), 박과(Cucurbitaceae), 삼과(Cannabaceae)가 각각 1분류군씩 나타났다(Appendix 2).
사구별 외래식물은 평균 약 24분류군으로, 적게는 7분류군, 많게는 45분류군까지 출현하였다(Table 2). 신지명사사구는 가장 많은 외래식물이 서식하는 사구로 12과 32속 43종 2변종 등 총 45분류군이 출현하였다. 가장 적은 수의 외래식물이 나타난 사구는 남우전사구로 6과 7속 7종 등 총 7분류군이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태계교란식물은 충청 권역의 8개 사구(꽃지사구, 독산사구, 사목사구, 소황사구, 신합사구, 열목사구, 원산사구, 중장사구)와 전라 권역의 11개 사구(금일명사사구, 남열사구, 대광사구, 덕산사구, 도찬리사구, 서방축사구, 송종사구, 송호사구, 신지명사사구, 월송사구, 장선사구) 등 전체 19개의 사구에서 출현이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3개 사구(남우전사구, 어머리사구, 우전사구)에서는 생태계교란식물의 서식을 확인할 수 없었다. 특히 신합사구는 가장 많은 생태계교란식물이 출현한 사구로 4과 6속 6종 등 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대광사구, 소황사구에서는 3분류군, 꽃지사구, 도찬리사구, 독산사구, 사목사구, 신지명사사구, 열목사구, 중장사구에서 2분류군, 금일명사사구, 남열사구, 덕산사구, 서방축사구, 원산사구, 월송사구, 장선사구, 송종사구, 송호사구에서 1분류군이 출현하였다. 환삼덩굴은 17개의 사구에서 서식이 확인되어 가장 넓은 분포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돼지풀 7개 사구, 애기수영 6개 사구, 미국쑥부쟁이와 서양금혼초는 2개 사구에서 서식을 확인하였고, 가시박은 1개 사구에서만 출현하였다(Table 3).
본 연구는 사구 식물상의 체계적인 보전과 효율적인 관리 및 종 다양성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수행된 전국 해안사구 자연환경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여 충청·전라 권역의 사구 식물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해안사구에 서식하고 있는 외래식물과 생태계교란식물 분포 현황을 파악하여 공개하였다. 이러한 데이터는 사구식물 보전, 관리, 종다양성 보존을 유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지속적인 조사와 모니터링을 진행한다면 천이 예측을 통한 해안사구 생태계 관리 및 보존 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Acknowledgements
The authors thank Jin-oh Hyun, HyeRyun Na, Byunwoo Han, Youngsuk Lim and Jieun Park, who participated in ‘An Ecosystem survey for coastal sand dune’, for providing the data.

Conflict of Interest

On behalf of all authors, the corresponding author states that there is no conflict of interest.

Funding Information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NIE), fund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E) of the Republic of Korea (NIE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 (NIE-C-2023-01).

Data Availability Statement

The data that suppor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openly available in Ecobank (https://nie-ecobank.kr/) at http://doi.or.kr/10.22756/ESSA.20220000000793.

Fig. 1.
Study area of national coastal sand dune natural environment survey on (A) Chungcheong region, (B) Jeolla region in South Korea.
GD-2023-0031f1.jpg
Table 1.
The number of vascular plants in the coastal sand dune on Chungcheong to Joella region, South Korea
Taxa Family Genus Species Subspecies Variety Forma Total
Pteridophyta 8 9 15 0 2 0 17
Gymnospermae 2 4 8 0 0 0 8
Angiospermae 109 359 543 8 48 7 606
Total 119 372 566 8 50 7 631
Table 2.
The list of alien plants among the coastal sand dune on the Cungcheong to Jeolla region, South Korea
Coastal sand dune Family Genus Species Subspecies Variety Forma Total
Sinjimeongsa 12 32 43 0 2 0 45
Jangseon 12 30 34 0 2 0 36
Sinhab 13 30 33 0 0 0 33
Geumilmeongsa 11 23 31 0 1 0 32
Deagwang 10 26 28 0 1 0 29
Namyeol 10 24 28 0 1 0 29
Wolsong 13 22 28 0 1 0 29
Doksan 13 24 27 0 0 0 27
Sohwang 11 24 26 0 0 0 26
Yeolmok 12 24 26 0 0 0 26
Songjong 8 20 24 0 1 0 25
Jungjang 10 21 23 0 0 0 23
Samok 9 21 23 0 0 0 23
Duksan 9 21 22 0 0 0 22
Songho 10 17 20 0 2 0 22
Dochanri 10 20 21 0 0 0 21
Kkochji 10 19 20 0 0 0 20
Woojun 7 15 15 0 0 0 15
Eomeoli 6 10 11 0 0 0 11
Seobangchuk 7 10 11 0 0 0 11
Wonsan 6 10 10 0 0 0 10
Namwoojeon 6 7 7 0 0 0 7
Table 3.
The list of ecosystem-disturbing plants among the coastal sand dune on the Chungcheong to Joella region, South Korea
Coastal sand dune Family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Sinhab Asteraceae Ambrosia artemisiifolia 돼지풀
Asteraceae Aster pilosus 미국쑥부쟁이
Asteraceae Hypochaeris radicata 서양금혼초
Cannabaceae Humulus japonicus 환삼덩굴
Cucurbitaceae Sicyos angulatus 가시박
Polygonaceae Rumex acetosella 애기수영
Deagwang Asteraceae Ambrosia artemisiifolia 돼지풀
Cannabaceae Humulus japonicus 환삼덩굴
Polygonaceae Rumex acetosella 애기수영
Sohwang Asteraceae Ambrosia artemisiifolia 돼지풀
Cannabaceae Humulus japonicus 환삼덩굴
Polygonaceae Rumex acetosella 애기수영
Dochanri Asteraceae Ambrosia artemisiifolia 돼지풀
Cannabaceae Humulus japonicus 환삼덩굴
Doksan Asteraceae Aster pilosus 미국쑥부쟁이
Cannabaceae Humulus japonicus 환삼덩굴
Jungjang Asteraceae Ambrosia artemisiifolia 돼지풀
Cannabaceae Humulus japonicus 환삼덩굴
Kkochji Cannabaceae Humulus japonicus 환삼덩굴
Polygonaceae Rumex acetosella 애기수영
Samok Cannabaceae Humulus japonicus 환삼덩굴
Polygonaceae Rumex acetosella 애기수영
Sinjimeongsa Cannabaceae Humulus japonicus 환삼덩굴
Polygonaceae Rumex acetosella 애기수영
Yeolmok Asteraceae Ambrosia artemisiifolia 돼지풀
Asteraceae Hypochaeris radicata 서양금혼초
Duksan Cannabaceae Humulus japonicus 환삼덩굴
Geumilmeongsa Cannabaceae Humulus japonicus 환삼덩굴
Jangseon Cannabaceae Humulus japonicus 환삼덩굴
Seobangchuk Cannabaceae Humulus japonicus 환삼덩굴
Songho Cannabaceae Humulus japonicus 환삼덩굴
Songjong Cannabaceae Humulus japonicus 환삼덩굴
Namyeol Cannabaceae Humulus japonicus 환삼덩굴
Wolsong Cannabaceae Humulus japonicus 환삼덩굴
Wonsan Asteraceae Ambrosia artemisiifolia 돼지풀
  • Beon MS, Oh HK (2006) Analysis of the change of the flora and vegetation association of Ui island sand dune. Korean J Environ Ecol 20(1):41–51
  • Cho Y, Kim J, Park S (2016) Grasses and Sedges in South Korea. Geobook, Seoul, p. 528
  • Choi KH, Kong HY (2020) Environmental changes due to planting pine trees on the coastal dunes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case study of Osan beach in Yangyang-gun.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27(1):21–31Article
  • Choi YE (2019a) A study on the species compositional changes of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by invasive species - in five coastal sand dunes on Jin-do island, on Wan-do island, and in Haenam-gun. TJOKI 31(4):397–416Article
  • Choi YE (2019b) Changes of vegetation in the coastal sand dunes following the transformation of land use in Dangjae-bong on Jin-do island, Jeollanam-do. TJOKI 31(3):277–294Article
  • Dang KB, Nguyen TT, Ngo HH, et al (2021) Integrated methods and scenarios for assessment of sand dunes ecosystem services. J Environ Manage 289:112485ArticlePubMed
  • Kang ES, Lee SR, Oh SH, et al (2020) Comprehensive review about alien plants in Korea. Kor J Plant Tax 50(2):89–119ArticlePDF
  • Kim DW, Gu JW, Hong YJ, Hong YJ, Kim SM, Son SW (2022a) Deep learning-based monitoring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coastal dune vegetation. J Korean Env Res Tech 25(6):25–33
  • Kim GH, Lee SH, Hwang GJ, et al (2022b)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coastal plants and flora according to habitat characteristics-research on the west coast. TJOKI 34(4):223–276Article
  • Korea Fern Research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p. 400
  •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Illustrated Pteridophyta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p. 560
  •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p. 624
  • Lee W (1996)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books, Seoul, p. 624
  • Lee YM, Park SH, Jung SY, Oh SH, Yang JC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 J Plant Tax 41(1):87–101ArticlePDF
  • Ministry of Environment (2019) Act on the Conservation and Use of Biological Diversity. Article 2: Definitions.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https://law.go.kr/LSW/lsInfoP.do?lsiSeq=212233&ampefYd=20170628#0000 Accessed 6 Sep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9) National Species List of Korea: Vascular Plants. Vol. 1.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p. 51–506
  •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23) 2022 national coastal sand dunes natural environment survey: Gyeongsang-Busan area. NIE, Seocheon, p. 685
  • Park JW, Lee SY, Lee EP, et al (2020)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and plant diversity of coastal sand dune in Busan metropolitan city. J Wet Res 22(2):66–72
  • Park MS (2007) Vegetation of Narodo islet.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1:25–34
  •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p. 602
  • Polidorou M, Evelpidou N (2021) Geomorphology of the coastal sand dune fields and their association with the palaeolandscape evolution of Akrotiri peninsula, Lemesos, Cyprus. Geosci J 11(11):448Article
  • Sigren JM, Jens F, Anna RA (2014) Costal sand dunes and dune vegetation: restoration, erosion, and storm protection. Shore Beach 82(4):5–12
Metadata for Dataset
Sort Field Subcategory#1 Subcategory#2
Essential *Title The study of distribution for flora of alien species and ecosystem-disturbing species on coastal sand dune in Chungcheong to Jeolla region, South Korea
*DOI name http://doi.or.kr/10.22756/ESSA.20220000000793
*Category Biota
Abstract
*Temporal Coverage 2 years (2018 to 2019)
*Spatial Coverage Address
WGS84 Coordinates Point
Latitude: 34˚19´26˝ N to 36˚55´17˝ N
Longitude: 126˚03´52˝ E to 127˚29´20˝ E
*Personnel Name Jihyun Kang
Affiliation National Institude of Ecology
E-mail kjhb612@nie.re.kr
*CC License CC-BY-NC
Optional *Project National coastal sand dune natural environment
*Instrument
Appendix 1.
The list of alien plants in coastal sand dune on Chungcheong to Jeolla region, South Korea
Family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Coastal sand dune
Amaranthaceae Amaranthus viridis 청비름 Jeolla
Asteraceae Achillea millefolium 서양톱풀 Chungcheong
Asteraceae Ambrosia artemisiifolia 돼지풀 Chungcheong, Jeolla
Asteraceae Aster pilosus 미국쑥부쟁이 Chungcheong
Asteraceae Aster subulatus 비짜루국화 Jeolla
Asteraceae Aster subulatus var. sandwicensis 큰비짜루국화 Jeolla
Asteraceae Bidens frondosa 미국가막사리 Jeolla
Asteraceae Bidens pilosa 울산도깨비바늘 Jeolla
Asteraceae Bidens pilosa var. minor 흰도깨비바늘 Jeolla
Asteraceae Carduus crispus 지느러미엉겅퀴 Chungcheong
Asteraceae Chrysanthemum leucanthemum 불란서국화 Jeolla
Asteraceae Conyza bonariensis 실망초 Jeolla
Asteraceae Conyza canadensis 망초 Chungcheong, Jeolla
Asteraceae Conyza parva 애기망초 Jeolla
Asteraceae Conyza sumatrensis 큰망초 Jeolla
Asteraceae Coreopsis lanceolata 큰금계국 Jeolla
Asteraceae Cosmos bipinnatus 코스모스 Jeolla
Asteraceae Crassocephalum crepidioides 주홍서나물 Chungcheong, Jeolla
Asteraceae Erigeron annuus 개망초 Chungcheong, Jeolla
Asteraceae Erigeron philadelphicus 봄망초 Chungcheong
Asteraceae Gamochaeta purpurea 자주풀솜나물 Jeolla
Asteraceae Helianthus tuberosus 뚱딴지 Chungcheong, Jeolla
Asteraceae Hypochaeris radicata 서양금혼초 Chungcheong
Asteraceae Rudbeckia hirta var. pulcherrima 원추천인국 Jeolla
Asteraceae Senecio vulgaris 개쑥갓 Chungcheong, Jeolla
Asteraceae Sonchus asper 큰방가지똥 Chungcheong, Jeolla
Asteraceae Sonchus oleraceus 방가지똥 Chungcheong, Jeolla
Asteraceae Tagetes minuta 만수국아재비 Jeolla
Asteraceae Taraxacum officinale 서양민들레 Chungcheong, Jeolla
Asteraceae Xanthium italicum 가시도꼬마리 Jeolla
Asteraceae Xanthium orientale 큰도꼬마리 Chungcheong, Jeolla
Boraginaceae Symphytum officinale 컴프리 Chungcheong
Brassicaceae Brassica juncea Chungcheong, Jeolla
Brassicaceae Cakile edentula 서양갯냉이 Chungcheong
Brassicaceae Descurainia pinnata 나도재쑥 Chungcheong
Brassicaceae Lepidium apetalum 다닥냉이 Chungcheong, Jeolla
Brassicaceae Lepidium virginicum 콩다닥냉이 Chungcheong, Jeolla
Brassicaceae Thlaspi arvense 말냉이 Chungcheong, Jeolla
Caryophyllaceae Cerastium glomeratum 유럽점나도나물 Chungcheong, Jeolla
Caryophyllaceae Silene gallica 양장구채 Jeolla
Chenopodiaceae Chenopodium album 명아주 Chungcheong, Jeolla
Chenopodiaceae Chenopodium ambrosioides 양명아주 Jeolla
Chenopodiaceae Chenopodium ficifolium 좀명아주 Chungcheong, Jeolla
Convolvulaceae Cuscuta campestris 미국실새삼 Jeolla
Convolvulaceae Ipomoea hederacea var. integriuscula A. Gray 둥근잎미국나팔꽃 Jeolla
Convolvulaceae Ipomoea purpurea 둥근잎나팔꽃 Jeolla
Cucurbitaceae Sicyos angulatus 가시박 Chungcheong
Euphorbiaceae Euphorbia maculata 애기땅빈대 Chungcheong, Jeolla
Fabaceae Amorpha fruticosa 족제비싸리 Chungcheong, Jeolla
Fabaceae Medicago minima 좀개자리 Chungcheong, Jeolla
Fabaceae Medicago polymorpha 개자리 Jeolla
Fabaceae Melilotus suaveolens 전동싸리 Chungcheong, Jeolla
Fabaceae Robinia pseudoacacia 아까시나무 Chungcheong, Jeolla
Fabaceae Trifolium pratense 붉은토끼풀 Chungcheong
Fabaceae Trifolium repens 토끼풀 Chungcheong, Jeolla
Fabaceae Vicia dasycarpa 각시갈퀴나물 Chungcheong, Jeolla
Fabaceae Vicia villosa 벳지 Chungcheong
Iridaceae Iris pseudacorus 노랑꽃창포 Jeolla
Malvaceae Abutilon theophrasti 어저귀 Jeolla
Malvaceae Malva parviflora 애기아욱 Jeolla
Onagraceae Oenothera biennis 달맞이꽃 Chungcheong, Jeolla
Onagraceae Oenothera laciniata 애기달맞이꽃 Jeolla
Oxalidaceae Oxalis articulata 덩이괭이밥 Jeolla
Oxalidaceae Oxalis corymbosa 자주괭이밥 Jeolla
Phytolaccaceae Phytolacca americana 미국자리공 Chungcheong, Jeolla
Plantaginaceae Plantago lanceolata 창질경이 Chungcheong
Poaceae Aegilops cylindrica 염소풀 Jeolla
Poaceae Andropogon virginicus 나도솔새 Chungcheong
Poaceae Avena fatua 메귀리 Jeolla
Poaceae Bromus rigidus 긴까락빕새귀리 Jeolla
Poaceae Bromus sterilis 까락빕새귀리 Jeolla
Poaceae Bromus tectorum 털빕새귀리 Chungcheong, Jeolla
Poaceae Bromus catharticus 큰이삭풀 Chungcheong, Jeolla
Poaceae Dactylis glomerata 오리새 Chungcheong, Jeolla
Poaceae Eragrostis curvula 능수참새그령 Jeolla
Poaceae Festuca arundinacea 큰김의털 Chungcheong, Jeolla
Poaceae Festuca myuros 들묵새 Jeolla
Poaceae Lolium multiflorum 쥐보리 Chungcheong, Jeolla
Poaceae Lolium multiflorum var. ramosum 가지쥐보리 Jeolla
Poaceae Lolium perenne 호밀풀 Chungcheong, Jeolla
Poaceae Parapholis incurve 뿔이삭풀 Jeolla
Poaceae Paspalum distichum 물참새피 Jeolla
Poaceae Phleum pratense 큰조아재비 Jeolla
Poaceae Poa pratensis 왕포아풀 Jeolla
Polygonaceae Fallopia convolvulus 나도닭의덩굴 Chungcheong
Polygonaceae Fallopia dentatoalata 큰닭의덩굴 Jeolla
Polygonaceae Fallopia dumetorum 닭의덩굴 Chungcheong, Jeolla
Polygonaceae Rumex acetosella 애기수영 Chungcheong, Jeolla
Polygonaceae Rumex crispus 소리쟁이 Chungcheong, Jeolla
Polygonaceae Rumex obtusifolius 돌소리쟁이 Jeolla
Rosaceae Potentilla supina 개소시랑개비 Chungcheong
Rubiaceae Diodia teres 백령풀 Chungcheong, Jeolla
Scrophulariaceae Veronica arvensis 선개불알풀 Chungcheong, Jeolla
Scrophulariaceae Veronica persica 큰개불알풀 Chungcheong, Jeolla
Simaroubaceae Ailanthus altissima 가중나무 Chungcheong
Appendix 2.
The list of ecosystem disturbing plants in coastal sand dune on Chungcheong to Jeolla region, South Korea
Family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Asteraceae Ambrosia artemisiifolia 돼지풀
Asteraceae Aster pilosus 미국쑥부쟁이
Asteraceae Hypochaeris radicata 서양금혼초
Cannabaceae Humulus japonicus 환삼덩굴
Cucurbitaceae Sicyos angulatus 가시박
Poaceae Paspalum distichum 물참새피
Polygonaceae Rumex acetosella 애기수영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Figure

      GEO DATA : GEO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