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GEO DATA : GEO DATA

OPEN ACCESS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GEO DATA > Volume 7(2); 2025 > Article
Data Article
제주권역 습지보호지역 육상곤충의 정량적 자료 구축
이상훈1,*orcid, 원민혁2orcid
Quantitative Data Building of Terrestrial Insect over Protected Wetland Areas of Jeju Area
Sanghun Lee1,*orcid, Minhyeok Won2orcid
GEO DATA 2025;7(2):70-76.
DOI: https://doi.org/10.22761/GD.2025.0006
Published online: June 11, 2025

1팀장, 국립생태원 습지연구팀,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이산길 38, 50303, 대한민국

2연구원, 국립생태원 습지연구팀,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이산길 38, 50303, 대한민국

1Team Leader, Wetland Research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38 Isan-gil, Ibang-myeon, Changnyeong-gun, Gyeongsangnam-do 50303, South Korea

2Researcher, Wetland Research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38 Isan-gil, Ibang-myeon, Changnyeong-gun, Gyeongsangnam-do 50303, South Korea

Corresponding Author Sanghun Lee Tel: +82-55-530-5511 E-mail: sanghunlee@nie.re.kr
• Received: February 6, 2025   • Revised: April 23, 2025   • Accepted: April 29, 2025

Copyright © 2025 GeoAI Data Socie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rev next
  • 550 Views
  • 53 Download
  • In this study, we quantitatively organized and analyzed data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of terrestrial insect habitats in the Jeju protected wetland areas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South Korea and to examine changes in terrestrial insects due to climate change in the future. A total of 17 order, including Lepidoptera, Hemiptera, Coleoptera, and Diptera, appeared in the Jeju protected wetland areas, the dominance rate of each order showed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e distribution of terrestrial insects in South Korea, and in particular, approximately 46.8% of all families and 16.2% of all species were distributed, indicating that biodiversity in abundant despite the small area. In addition, when comparing each wetland, four wetlands except Sumeunmulbaengdui showed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e distribution of South Korea as a whole. However, the Sumeunmulbaengdui is considered to have low insect diversity due to its poor accessibility and relatively low biodiversity caused by dense forests. It is thought that terrestrial insects in the Jeju protected wetland areas are rich in biodiversity despite their small area, and that continuous management and conservation will necessary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data constructed this time will contribute to th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protected wetland area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in the future.
기후 변화는 전 세계 여러 곳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후 변화로 인하여 많은 것들이 영향을 받고 있다. 이제 기후 변화는 단순한 변화의 수준을 넘어서 인류의 안정과 번영을 위협하고 있으며 특히 생태계에는 더 많은 영향들이 발생하고 있고 생태계의 파괴는 인류의 존속을 위협한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기온 변화를 살펴보면 과거 100년간 약 1.5℃ 상승하여 전 세계 평균 기온에 비해 두 배 빠르게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대로 지구 온난화가 지속된다면 21세기 후반의 우리나라의 기온은 약 4.6℃ 상승하고 강수량은 약 30% 이상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Lee and Bae, 2012; Lee et al., 2013). 이외에도 기후 변화로 인한 가뭄, 태풍, 폭염 등 다양한 현상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상 기후 현상으로 인하여 인류의 피해는 점점 더 증가할 뿐만 아니라 생태계에도 엄청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KMA, 2021; 2022).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강수량 증가와 기온 상승 등의 기후 변화는 곤충의 출현 시기 및 군집의 비행 기간 변화, 세대수의 증가 등 생태계 내에서 곤충에게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Altermatt, 2010; Ellwood et al., 2012; Long et al., 2017; Sparks et al., 2006; Zografou et al., 2020). 특히 곤충의 경우 기온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곤충의 분포 변화와 개체수 증감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인간 활동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무척추동물의 약 67%가 감소하였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Dirzo et al., 2014).
제주도는 우리나라 남쪽에 위치한 섬으로 육지와 멀리 떨어져 있지만 연중 관광객들이 많이 방문하는 곳으로 세계자연유산뿐만 아니라 환경부 지정 습지보호지역이 5곳 위치하고 있다. 특히 국가 지정 관리대상이 인근 지역보다 많이 분포하고 있어 관리 및 보전이 필요한 곳이다(Lee et al., 2024).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습지보호지역의 육상곤충 서식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기후 변화에 따른 육상곤충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정량적으로 자료를 정리 및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제주도는 화산 활동에 의해 만들어진 현무암과 퇴적암층으로 이루어져 있다(Kim, 2009; Lee et al., 2019). 제주도 습지보호지역은 용암류로 만들어진 요철 지형과 투수성이 높은 화산체가 분포하는 독특한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다(Kim, 2009). 특히 멸종위기종, 국가 지정 관리대상, 고유종 등 다양한 생물종들이 살고 있어 생물다양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의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제주 물영아리오름, 제주 물장오리오름, 제주 동백 동산습지, 제주 1100고지, 제주 숨은물뱅듸 습지를 대상으로 그동안 진행된 습지보호지역 정밀 조사(NIER, 2008; 2011; 2012; 2013; 2016; 2017; 2018) 및 내륙습지 정밀 조사(NIE, 2023) 자료를 바탕으로 육상곤충 자료를 정량적으로 정리 및 분석하였다(Fig. 1). 각 습지별 습지보호지역 지정 및 육상곤충 조사 현황을 살펴보면 물영아리오름은 2000년 12월에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조사는 2008년, 2013년, 2018년, 2023년에 이루어졌고 1100고지는 2009년 10월에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조사는 2013년, 2018년에 이루어졌으며 물장오리오름은 2009년 10월에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조사는 2011년, 2021년에 이루어졌고 동백동산습지는 2010년 11월에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2012년, 2017년에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숨은물뱅듸는 2015년 7월에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2017년에 조사가 이루어졌다.
제주도 습지보호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육상곤충의 각 목별과 수를 살펴보았다. 목은 나비목,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파리목을 포함한 17개 목이 출현하였다. 노린재목과 딱정벌레목이 38개 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나비목이 31개 과, 파리목이 27개 과로 나타났다. 벌목이 15개 과, 나머지 목들은 모두 10개과 이하로 나타났다(Fig. 2). 현재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각 목별 과 수와 비교해 보면 제주도 습지보호지역의 특징과 유사하게 나비목,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파리목이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Hong et al., 2019; NIBR, 2020). 특히 제주도 습지보호지역은 국토 면적에 비해 작은 면적이지만 육상 곤충 전체 과의 약 46.8%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대벌레목, 돌좀목, 메뚜기목, 집게벌레목은 6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제주도 습지보호지역의 각 목별 종 수를 살펴본 결과 나비목이 500종 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딱정벌레목, 노린재목, 파리목 순이었으며 나머지 목은 100종 이하로 나타났다(Fig. 3).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각 목별 종 수와 비교해 보면 종 수는 전체에 비해 약 16.2% 정도 출현하고 있으며 60% 이상 나타나는 목은 대벌레목 하나였다. 우리나라 전체에서는 나비목,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벌목, 파리목 등이 많이 나타나지만 제주도 습지보호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벌목과 파리목이 적게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제주도 습지보호지역의 각 습지별 과 수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는 나비목,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벌목, 파리목 등이 우점하는 것은 숨은물뱅듸를 제외하고는 유사하게 나타났다(Table 1). 숨은물뱅듸의 경우 접근성이 떨어지고 울창한 산림으로 인해 생물다양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져서 곤충의 다양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Lee et al., 2024).
제주도 습지보호지역의 각 습지별 종 수를 살펴보면 전체적인 특징은 앞에서 언급한 과 수 변화와 유사하며 종 수에서도 숨은물뱅듸가 낮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원인도 과 수 현황과 비슷하다고 판단된다(Table 2).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습지보호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육상 곤충의 각 목별 과 수 및 종 수의 현황을 파악하고 정량적 자료를 구축하였다. 제주도 습지보호지역은 면적은 약 2.8 km2로 국토 면적의 약 0.028%밖에 되지 않지만 전체 과 수의 약 46.8%, 전체 종 수의 약 16.2%가 서식하는 곳으로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곳이라 할 수 있다. 이번에 구축한 자료는 향후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제주도 습지보호지역의 관리 및 보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Conflict of Interest

Sanghun Lee has been an Editorial Board of GEO DATA; however, he was not involved in the peer reviewer selection, evaluation, or decision process of this article. Otherwise, no other potential conflicts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ere reported.

Funding Information

This study was funded by the project, Wetlands Research, grant numbers NIE-A-2025-19.

Data Availability Statement

The data that suppor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openly available in EcoBank at http://doi.or.kr/10.22756/GEO.20250000000919.

Fig. 1.
Study area in Jeju island. DBD, Dongbaekdongsan; MJO, Muljangori-oreum; SMD, Sumeunmulbaengdui; MYO, Mulyeongari-oreum; CBG, 1100 Altitude.
GD-2025-0006f1.jpg
Fig. 2.
Number of family by order in Jeju protected wetland areas.
GD-2025-0006f2.jpg
Fig. 3.
Number of species by order in Jeju protected wetland areas.
GD-2025-0006f3.jpg
Table 1.
Number of family by each wetland in Jeju protected wetland areas
MYO MJO DBD CBG SMD All
Lepidoptera 21 20 30 17 16 31
Trichoptera 2 1 1 2
Hemiptera 26 23 22 22 8 38
Phasmida 1 2 1 1 2
Archaeognatha 1 1
Coleoptera 30 22 28 24 7 38
Orthoptera 7 8 8 7 4 8
Mecoptera 1 1 1 1 1
Blattodea 1 2 1 2
Hymenoptera 6 9 9 9 2 15
Mantodea 1 1 1 1
Odonata 5 4 6 5 3 7
Dermaptera 1 1 2 2 3
Thysanoptera 1 1 1
Diptera 18 11 9 12 1 27
Neuroptera 2 2 5 1 2 5
Ephemeroptera 1 1 1

MYO, Mulyeongari-oreum; MJO, Muljangori-oreum; DBD, Dongbaekdongsan; CBG, 1100 Altitude; SMD, Sumeunmulbaengdui.

Table 2.
Number of species by each wetland in Jeju protected wetland areas
MYO MJO DBD CBG SMD All
Lepidoptera 209 235 389 134 76 544
Trichoptera 2 1 1 3
Hemiptera 83 67 53 52 12 168
Phasmida 2 2 2 1 3
Archaeognatha 1 1
Coleoptera 156 150 135 100 11 346
Orthoptera 31 28 43 27 5 60
Mecoptera 1 2 1 1 2
Blattodea 1 2 1 2
Hymenoptera 20 19 21 19 2 56
Mantodea 2 3 1 3
Odonata 16 14 24 17 5 30
Dermaptera 1 3 2 2 6
Thysanoptera 1 3 3
Diptera 56 22 30 23 1 100
Neuroptera 2 2 6 1 2 9
Ephemeroptera 1 1 1

MYO, Mulyeongari-oreum; MJO, Muljangori-oreum; DBD, Dongbaekdongsan; CBG, 1100 Altitude; SMD, Sumeunmulbaengdui.

  • Altermatt F (2010) Climatic warming increases voltinism in European butterflies and moths. Proc R Soc B 277:1281–1287ArticlePubMedPMCPDF
  • Dirzo R, Young HS, Galetti M, Ceballos G, Isaac NJB, Collen B (2014) Defaunation in the anthropocene. Science 345(6195):401–406ArticlePubMed
  • Ellwood ER, Diez JM, Ibáñez I, et al (2012) Disentangling the paradox of insect phenology: are temporal trends reflecting the response to warming? Oecologia 168:1161–1171ArticlePubMedPDF
  • Hong KJ, Kim CU, Kwon GH, et al (2019) Insect pests of forest and shade trees. Hyangmunsa, Seoul, p. 1–390
  • Kim T (2009) Geomorphic characteristics of 1100 Highland, and Mulyeongari-oreum, wetlands in Jeju Island. J Korean Geomorphol Assoc 16(4):35–45
  •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21) Anomaly climate report 2021. KMA, Daejeon, p. 14–179
  •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22) Anomaly climate report 2022 KMA; Daejeon: 14–142
  • Lee S, Bae DH (2012) Local effects of climate change over South Korea with a high-resolution climate scenario. Clim Res 54(1):85–93Article
  • Lee S, Bae DH, Cho CH (2013) Changes in future precipitation over South Korea using a global high-resolution climate model. Asia-Pac J Atmospheric Sci 49(5):619–624ArticlePDF
  • Lee S, Shin H, Shin H, Yoo YS (2024) biodiversity research of butterflies community on protected wetland areas in Jejudo. J Korean Isl 36(4):309–321Article
  • Lee Y, Kang M, Park C, Yoo C (2019) Suggestion of classification rule of hydrological soil group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revision of soil series: a case study on Jeju Island. J Korea Water Resour Assoc 52(1):35–49
  • Long OMD, Warren R, Price J, Brereton TM, Botham MS, Franco AMA (2017) Sensitivity of UK butterflies to local climatic extremes: which life stages are most at risk? J Anim Ecol 86(1):108–116ArticlePubMedPDF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2020) 2020 biodiversity statistics of Korea. NIBR, Incheon, p. 1–329
  •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NIE) (2023) Intensive survey on national inland wetlands. NIE, Seocheon, p. 1012–1210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08) The 1st intensive survey on the wetland protected areas. NIER, Incheon, p. 119–128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1) The 2nd intensive survey on the wetland protected areas. NIER, Incheon, p. 937–988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2) The 2nd intensive survey on the wetland protected areas. NIER, Incheon, p. 545–598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3) The 2nd intensive survey on the wetland protected areas. NIER, Incheon, p. 121–372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6) The 3rd intensive survey on the wetland protected areas. NIER, Incheon, p. 501–511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7) The 3rd intensive survey on the wetland protected areas. NIER, Incheon, p. 798–1032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8) The 3rd intensive survey on the wetland protected areas. NIER, Incheon, p. 711–941
  • Sparks TH, Huber K, Dennis RLH (2006) Complex phenological responses to climate warming trends? Lessons from history. Eur J Entomol 103(2):379–386Article
  • Zografou K, Grill A, Wilson RJ, Halley JM, Adamidis GC, Kati V (2020) Butterfly phenology in Mediterranean mountains using space-for-time substitution. Ecol Evol 10(2):928–939ArticlePubMedPMCPDF
Meta Data for Dataset
Field Sub-Category
Title of Dataset Terrestrial insects data over Jeju protected wetland areas
DOI http://doi.or.kr/10.22756/GEO.20250000000919
Category Biota, Ecology
Temporal Coverage 2006.01.-2023.12.
Spatial Coverage Address Jeju Island
WGS84 Coordinates [Latitude] 33°03´36˝-33°35´18˝
[Longitude] 126°05´55˝-127°03´39˝
Personnel Name Sanghun Lee
Affiliation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E-mail sanghunlee@nie.re.kr
CC License CC BY-NC
Field Sub-Category
Summary of Dataset These data provide information on terrestrial insects over Jeju protected wetland areas
Project intensive survey on national inland wetlands
Instrument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Figure
      • 0
      • 1
      • 2
      Quantitative Data Building of Terrestrial Insect over Protected Wetland Areas of Jeju Area
      Image Image Image
      Fig. 1. Study area in Jeju island. DBD, Dongbaekdongsan; MJO, Muljangori-oreum; SMD, Sumeunmulbaengdui; MYO, Mulyeongari-oreum; CBG, 1100 Altitude.
      Fig. 2. Number of family by order in Jeju protected wetland areas.
      Fig. 3. Number of species by order in Jeju protected wetland areas.
      Quantitative Data Building of Terrestrial Insect over Protected Wetland Areas of Jeju Area
      MYO MJO DBD CBG SMD All
      Lepidoptera 21 20 30 17 16 31
      Trichoptera 2 1 1 2
      Hemiptera 26 23 22 22 8 38
      Phasmida 1 2 1 1 2
      Archaeognatha 1 1
      Coleoptera 30 22 28 24 7 38
      Orthoptera 7 8 8 7 4 8
      Mecoptera 1 1 1 1 1
      Blattodea 1 2 1 2
      Hymenoptera 6 9 9 9 2 15
      Mantodea 1 1 1 1
      Odonata 5 4 6 5 3 7
      Dermaptera 1 1 2 2 3
      Thysanoptera 1 1 1
      Diptera 18 11 9 12 1 27
      Neuroptera 2 2 5 1 2 5
      Ephemeroptera 1 1 1
      MYO MJO DBD CBG SMD All
      Lepidoptera 209 235 389 134 76 544
      Trichoptera 2 1 1 3
      Hemiptera 83 67 53 52 12 168
      Phasmida 2 2 2 1 3
      Archaeognatha 1 1
      Coleoptera 156 150 135 100 11 346
      Orthoptera 31 28 43 27 5 60
      Mecoptera 1 2 1 1 2
      Blattodea 1 2 1 2
      Hymenoptera 20 19 21 19 2 56
      Mantodea 2 3 1 3
      Odonata 16 14 24 17 5 30
      Dermaptera 1 3 2 2 6
      Thysanoptera 1 3 3
      Diptera 56 22 30 23 1 100
      Neuroptera 2 2 6 1 2 9
      Ephemeroptera 1 1 1
      Field Sub-Category
      Title of Dataset Terrestrial insects data over Jeju protected wetland areas
      DOI http://doi.or.kr/10.22756/GEO.20250000000919
      Category Biota, Ecology
      Temporal Coverage 2006.01.-2023.12.
      Spatial Coverage Address Jeju Island
      WGS84 Coordinates [Latitude] 33°03´36˝-33°35´18˝
      [Longitude] 126°05´55˝-127°03´39˝
      Personnel Name Sanghun Lee
      Affiliation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E-mail sanghunlee@nie.re.kr
      CC License CC BY-NC
      Field Sub-Category
      Summary of Dataset These data provide information on terrestrial insects over Jeju protected wetland areas
      Project intensive survey on national inland wetlands
      Instrument
      Table 1. Number of family by each wetland in Jeju protected wetland areas

      MYO, Mulyeongari-oreum; MJO, Muljangori-oreum; DBD, Dongbaekdongsan; CBG, 1100 Altitude; SMD, Sumeunmulbaengdui.

      Table 2. Number of species by each wetland in Jeju protected wetland areas

      MYO, Mulyeongari-oreum; MJO, Muljangori-oreum; DBD, Dongbaekdongsan; CBG, 1100 Altitude; SMD, Sumeunmulbaengdui.


      GEO DATA : GEO DATA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