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구리과 3종(Brown frog)의 분포 특성_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Distribution of Brown frog in South Korea–On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Article information

GEO DATA. 2020;2(1):39-42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0 February 18
doi : https://doi.org/10.22761/DJ2020.2.1.007
1Division of Ecological Survey,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Division of Ecosystem Assessment,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장환진1, 장민호2,
1국립생태원 자연환경조사팀
2국립생태원 환경영향평가팀
*Corresponding author: mhchang@nie.re.kr
Received 2020 June 12; Revised 2020 June 24; Accepted 2020 June 27.

Abstract

식용 개구리로 알려진 산개구리류의 불법 포획 방지와 보호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2006 ~ 2013)를 수행하며 8년간의 산개구리류 분포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그 결과 산개구리류 6,207건의 항목에 대해 분포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Trans Abstract

Brown frog data from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2006 ~ 2013) were used for Amphibians, which are known as the Edible Frog. Data on distribution type among GIS factors in the Brown frog Recorded of South Korea were generated. As a result, distribution types were generated for 6,207 Brown frogs.

1. 서론

현재까지 정식으로 국내에 기록된 한국산 산개구리류는 한국산개구리(Rana coreana, Korean brown frog), 북방산개구리(Rana dybowskii, Dybowski's brown frog), 계곡산개구리(Rana huanrenensis, Huanren brown frog) 등 3종으로서 알, 유생, 성체를 통해 국내 서식이 파악되고 있으며, 주로 알과 성체의 발견으로 서식현황이 파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야외조사, 특히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2006~2013)에서 확인된 산개구리류 3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국의 산개구리류 분포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2. 조사 방법(Methods)

본 조사는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의 양서·파충류 조사 방법에 의거하여 수행되었으며, 국립생태원의 생태 정보 종합시스템인 EcoBank의 데이터 표준과 품질관리 절차를 준용하여 데이터를 생산하였다.

3. 시간적 범위(Temporal coverage)

본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3차 전국자연환경조사(2006 ~ 2013) 양서·파충류 데이터 중 산개구리류(한국산개구리, 북방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 6,207건이며 도엽 범위를 기준으로 구분하였다.

4. 공간적 범위(Geographic coverage)

좌표의 생성은 도서를 포함 전 국토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1:25,000 축척의 지형도에 기록된 공간 자료를 기준으로 좌표를 생성하였다.

5. 분류학적 범위(Taxonomic coverage)

산개구리류는 양서강(Amphibians) 무미목(Salientia) 개구리과(Ranidae)에 속하며, 남한지역에 기록되어 있는 산개구리류는 총 3종으로 제주도를 제외한 저지대에서 기록된 한국산개구리(Rana coreana), 산지와 저지대 등 남한지역 전역에서 기록된 북방산개구리(Rana dybowskii), 산림지역의 계곡지역에 기록된 계곡산개구리(Rana huanrenensis)가 보고되어 있다(국립생물자원관, 2020).

6. 결과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확인된 산개구리류는 총 3종이며, 국내 분포는 총 6,207지점에서 서식이 확인되었다. 제주도를 제외한 저지대에서 서식이 확인된 한국산개구리(Rana coreana)는 1,569지점, 산지와 저지대 등 남한지역 전역에서 서식이 확인된 북방산개구리(Rana dybowskii)는 3,710지점, 산림지역의 계곡지역에서 서식이 확인된 계곡산개구리(Rana huanrenensis)는 930지점이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보고되어 있다.

Fig. 1.

Distribution status of Brown frog.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전국자연환경조사(NIE-법정연구-2020-01)에 의해 지원되어 수행하였음.

References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guide lines Incheon: 298p:
KSH (2019) The Korean Society of Herpetologists. http://www.krsh.co.kr. Accessed 1 Dec 2019.

Appendix

메타데이터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Distribution status of Brown frog.

구분 필드명 하위카테고리#1 하위카테고리#2 설명
필수 Title 산개구리류 국내분포 산개구리3종의 국내분포현황 제3차(2006-2013)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
*DOI name - - -
*Category biota
Abstract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 중 산개구리 3종의 분포자료임
*Temporal Coverage 2006년 3월 ~2013년 12월 취득기간 2006년~2013년
*Spatial 공간범위 대한민국
Coverage 위도 33 °N ~ 42 °N, 경도 122 °E~131 °E 영역 점 (point) 공간정보 (WGS84 권고)
*Personnel 등록자(장환진)/소유자(국립생태원) 이름 장환진
소속 국립생태원 자연환경조사팀
이메일 frog1978@nie.re.kr
*License 공개자료 공개자료 공개자료
선택 *Project 전국자연환경조사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Instru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