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공원에 서식하는 매미 발생량 조사
Investigation of Cicada Density in Urban Park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occurrence patterns and densities of cicadas in 18 urban parks in Seoul, Korea. Consider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icadas that occured only in summer, the temporal changes of cicadas were investigated every week from June to September in 2017. Cicadas densities were measured using the final instar exuviae of cicada, which showed distinct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species. A total of 7,369 cicada exuviae of six species were collected, and the dominant species in urban park were Hyalessa fuscata (44.8%) and Cryptotympana atrata (41.7%). There was no clear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occurrence by species, but it occurred most frequently around August when the rainy season ended.
1. 서론
기후 변화 및 도심생태계의 변화 지표종으로 인식되고 있는 매미는 나무의 수액을 흡즙하며, 종 간 다른 소리를 내는 대표적인 여름곤충이다. 국내에는 약 2아과 13여 종의 매미가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Lee, 2005), 말매미(Cryptotympana atrata, C. atrata) 및 참매미(Hyalessa fuscata, H. fuscata) 등 도심 내 공원 및 아파트 단지의 수목 등 주거지역 인근에서의 대발생으로 인한 생활 소음원으로 부각되고 있다(Kim et al., 2017). 종마다 생활주기에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매미는 땅속에서 2-6년 이상 유충 시기를 보내며(Dybas and Lloyd, 1974), 이 기간 동안 토양의 완충작용으로 인해 외부 온도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땅속 나무뿌리 수액 흡즙을 통해 식물 생장에 따른 계절적 변화를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Pregitzer et al., 2000; Williams and Simon, 1995), 매미 유충이 토양 지표면 근처까지 올라오는 종령 단계에서 외부 온도와 강수량 등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어 매미 유충이 여름철 집중적으로 땅 밖으로 나오는 것이 가능하다(Kim et al., 2017). 이러한 매미 유충의 여름철 집중적 발생은 도심 내 서식하는 포식자(새, 벌 등)의 주요한 먹이원(Koenig and Liebhold, 2013)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식물 생장을 위한 중요한 토양 내 영양 공급원으로 작용한다(Karban, 1981; Menninger et al., 2008; Sato and Sato, 2015). 그러나 국내에서는 매미 울음소리(Gu et al., 2012; Kang, 2014; Ki et al., 2016) 및 형태학적 분석(Lee, 2005) 등 일부 연구 이외의 매미 발생과 관련한 생태학적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 주요 도심 공원에서의 매미 발생량 조사를 통해 매미의 생태학적 발생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2. 자료 및 방법
2.1 조사지역
도시 공원내 매미 발생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지역 18개(10년 이상, 면적 1 ha 이상) 도시공원의 73개 방형구(직경 20 m)에서 매미 탈피각을 수집하였다. 각 공원별 방형구의 수는 공원 내 서식지 특성을 고르게 반영하기 위하여 공원 면적 및 공원 내 수목 분포 정도에 따라 각 공원별로 3-8개로 설정하였다(Table 1).
2.2 생물 자료
국내에는 총 13종의 매미가 서식하는것으로 알려져 있으며(Lee, 2005), 이 중 도심지역에서는 말매미(C. atrata), 참매미(H. fuscata ), 쓰름매미(Meimuna mongolica, M. mongolica), 애매미(Meimuna opalifera, M. opalifera), 유지매미(Graptosaltria nigrofuscata, G. nigrofuscata), 털매미(Platypleura kaempferi, Pl. kaempferi) 6종이 흔히 관찰되는 주요종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심에서 주로 관찰되는 6종의 주요 매미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특히 여름철(6-8월)에만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매미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매미가 우화하기 시작하는 2017년 6월부터 매미의 활동이 끝나는 9월까지 매주 1회씩 매미 발생량 조사를 진행하였다(2017년 6월 24일부터 2017년 9월 16일까지). 매미 발생량의 측정은 시간 경과에 따른 훼손이 적고 조사에 따른 매미 개체군 밀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매미 탈피각 조사를 통해 진행하였다(Young, 1981). 또한 최초 조사 시작 전 이전 년도에 발생한 탈피각을 제거하여 당해년도 매미 발생량 조사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배제하였다. 매미 종 동정은 매미 탈피각의 형태학적 분류키를 이용한 Lee et al. (2012)의 방법을 사용하였다(Fig. 1). 매미 탈피각은 형태학적 특징에 따라 종 간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탈피각의 종 동정을 통해 일대일 대응 밀도조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3. 연구 결과
조사 기간 동안(2017년 6월 24일부터 2017년 9월 16일까지) 서울 지역 18개 주요 도시공원의 73개 방형구에서는 총 7,369개체의 매미 탈피각이 채집되었다. 전체 18개 도시 공원 중 청담공원의 매미 탈피각 발생량이 305.9개체/방형구로 가장 많았으며, 원터공원이 9.0개체/방형구로 가장 적은 발생량을 보였다. 매미 종별 방형구당 발생량은 참매미(H. fuscata)가 전체의 44.8% (1,023.3개체/방형구)로 가장 많은 발생량을 보였으며, 말매미(C. atrata)와 유지매미(G. nigrofuscata)가 각각 41.7% (952.9개체/방형구)와 10.5% (239.6개체/방형구)의 발생량을 보였다. 반면 나머지 종들에서는 2% 미만의 낮은 발생량을 보였다.
시간 변화에 따른 매미 발생량을 비교한 결과 8월 5일 가장 많은 532.8개체/방형구가 발생하였으며, 8월 12일 이후 매미 발생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 매미 종별 시간에 따른 발생량은 종에 관계없이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2). 특히 참매미(H. fuscata)는 7월 29일부터 8월 12일까지 매주 200개체/방형구 이상의 높은 발생량을 보였으며, 말매미(C. atrata)는 7월 29일 233.3개체/방형구로 가장 많은 발생량을 보였다. 한편 6종의 매미들은 최초 발생에 시기적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매미(C. atrata)와 털매미(Pl. kaempferi)는 6월 말부터 발생한 것에 비하여 쓰름매미(M. mongolica)와 애매미(M. opalifera)는 각각 7월 15일과 7월 29일 이후부터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결론 및 토의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역 도심공원 내 매미 탈피각을 이용하여 매미의 시기별 발생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도심공원 내 가장 우점하는 매미 종은 참매미(44.8%)와 말매미(41.7%)로 나타났으며(Fig. 3), 강수가 집중되는 7월 중순(장마기간) 이후부터 매미의 발생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2). 이는 온도의 증가와 함께 장마로 인해 부드러워진 토양이 매미 유충이 땅 밖으로 나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매미는 수목에 가해하는 영향의 정도가 크지 않아 농업해충으로 분류되지 않으나 도심에서는 여름철 소음의 원인으로 인한 민원 발생 등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Kim et al., 2017).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발생에 대한 기초적인 조사조차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심 내 매미 발생과 관련한 기초연구로 향후 매미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데 의의가 있다.
Notes
Conflict of Interest
On behalf of all authors, the corresponding author states that there is no conflict of interest.
Funding Information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NIE), fund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E) of the Republic of Korea (NIE-B-2023-01, NIE-A-2017-02).
Data Availability Statement
The data that suppor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openly available in EcoBank at http://doi.or.kr/10.22756/GEO.20230000000824.
Acknowledgements
We thanks to Go JH, Na SM, Park BS, Lee TK, Cha YB and Lee DJ of Incheon National University for their assistance in collecting cicada exuvi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