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GeoData

지질학, 생태학, 해양학, 우주과학, 극지과학에서의 데이터 저널

검색

Search results: 4
1

Vol.3, No.4

확장 및 갱신된 위성영상 분석 데이터 구축 및 서비스
Expand and Renewal of Analyzed Satellite Image and Service
윤영웅(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박채원(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공성현(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백원경(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정형섭(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2021, Vol.3, No.4, pp.32~48 https://dx.doi.org/10.22761/DJ2021.3.4.005
초록보기
Abstract

In this study, additional satellite analysis data in 2019, 2020, and 2021 were generated using Landsat-8 and Sentinel-2 satellite images. We additionally employed 19 types of satellite analysis methods, and generated totally 57 cases of satellite analysis data for three years. In addition, 34 types of satellite analysis data were updated using 2021 satellite data. In conclusion, a total of 91 cases of satellite analysis data were generated. The coverage of the study is the entire South Korea. The spatial resolution and the coordinate system were 30 m and UTM-K (EPSG: 5179) respectively. The products are provided as the entire South Korean and regional data, respectively. In addition, it is provided in three data types: ASCII, ArcGIS Grid, and GeoTIFF as same as last distribution. All satellite image analysis data can be downloaded free of charge from the Environmental Big Data website (www.bigdata-environment.kr), an environmental business big data platform.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19년과 2020년, 2021년에 촬영된 Landsat-8과 Sentinel-2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위성영상 산출물 신규 구축 및 갱신했다. 3개년에 대해 총 19종의 위성영상 산출 기법을 추가 도입하여 총 57건의 위성영상을 신규 구축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구축하였던 위성영상 산출물 34종을 2021년 영상을 활용하여 갱신했다. 결론적으로 총 91건의 위성영상 분석자료를 제작했다. 연구 범위는 남한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때의 해상도와 좌표계는 각각 30m, UTM-K (EPSG:5179)이다. 제작된 자료는 남한 전체 및 권역 별 자료로 각각 제공된다. 또한 기존과 동일하게 자료의 범용성을 위해 ASCII, ArcGIS Grid, GeoTIFF의 3가지 자료형으로 제공한다. 제작된 모든 위성영상 분석 데이터는 환경 비즈니스 빅데이터 플랫폼인 환경빅데이터 홈페이지(www.bigdata-environment.kr)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가능하다.

2

Vol.2, No.2

위성영상 분석 데이터 구축 및 서비스
Construction of Analyzed Satellite Image and Service
백원경(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박숭환(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재난재해연구센터) ; 유진우(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윤영웅(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정형섭(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2020, Vol.2, No.2, pp.45~55 https://dx.doi.org/10.22761/DJ2020.2.2.007
초록보기
Abstract

In this study, 17 types of satellite analysis maps were generated using Landsat-8 and Sentinel-2 satellite images acquired at 2019 and 2020. Totally, 68 of satellite analysis data were produced. The scope of deployment is South Korea as a whole, with a resolution of 30 meters, and the coordinate system is UTM-K coordinates. The established data will be provided in both South Korean and regional data respectively. In addition, it is provided by three data format: ASCII, ArcGIS Grid, and GeoTIFF for enhancing accessibility of the data. All these satellite analysis data can be downloaded free of charge from the Environmental Big Data website (www.bigdata-environment.kr), an environmental business big data platform.

초록

본 연구에서는 Landsat-8과 Sentinel-2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2019년과 2020년의 위성영상 산출물 각 17종을 구축하였다. 결론적으로 총 68종의 위성영상 분석자료를 제작했다. 구축 범위는 남한 전체이며 해상도는 30m이며 좌표계는 UTM-K 좌표이다. 구축된 자료는 남한 통판 자료와 권역 자료로 각각 제공된다. 또한 자료의 접근성을 확대하기 위하여 ASCII, ArcGIS Grid, GeoTIFF의 3가지 자료 형태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모든 위성영상 분석 데이터는 환경 비즈니스 빅데이터 플랫폼인 환경빅데이터 홈페이지(www.bigdata-environment.kr)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가능하다.

3

Vol.2, No.2

DEM을 이용한 지형/수문 분석 데이터 구축 및 서비스
Construction of Topographic/Hydrologic Data using DEM and its Service
이사로(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오플랫폼연구본부) ; 김민지(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오플랫폼연구본부)
2020, Vol.2, No.2, pp.36~44 https://dx.doi.org/10.22761/DJ2020.2.2.006
초록보기
Abstract

In this study, 10 types of terrain analysis maps and 10 types of hydrology analysis maps were constructed through various topographic/hydrological analysis using a digital topographic model (DEM). The construction range is for the entire South Korea, the resolution is 30m, and the coordinate system is UTM-K coordinates. The constructed data format is provided in three formats: ASCII, ARCGIS GRID, and GEOTIFF. In addition, all data is provided in the form of the above three data format for whole of South Korea and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All of these topographic/hydrological analysis data can be downloaded for free from the environment big data platform (www.bigdata-environment.kr).

초록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형모델(DEM)을 이용하여 다양한 지형/수문 분석을 통해 지형 분석도 10종, 수문 분석도 10종을 구축하였다. 구축 범위는 남한 전체이며 해상도는 30m이며 좌표계는 UTM-K 좌표이다. 구축된 자료 형태는 ASCII, ARCGIS GRID, GEOTIFF 등 3가지 형태로 제공된다. 또한 모든 데이터는 남한 통판 자료와 행정구역별로 위의 3가지 자료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모든 지형/수문 분석 데이터는 환경빅데이터 플랫폼(www.bigdata-environment.kr)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가능하다.

4

Vol.3, No.4

확장된 지형/수문 분석 데이터 구축 및 서비스
Construction of Topographic/Hydrologic Data using DEM and its Service 2
이사로(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오플랫폼연구본부 지질자원데이터센터) ; 김민주(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오플랫폼연구본부 지질자원데이터센터)
2021, Vol.3, No.4, pp.1~10 https://dx.doi.org/10.22761/DJ2021.3.4.001
초록보기
Abstract

In addition to a total of 20 types of topography/moisture analysis maps that have already been built using a digital topographic model (DEM), in this study, a total of 32 types including 26 types of topographic analysis diagrams and 6 types of hydrological analysis diagrams were performed through various topography/hydraulic analysis. Additional species were built. As with the existing established data, the construction range is the whole of South Korea, the resolution is 30 m, and the coordinate system is UTM-K coordinates. The constructed data format is provided in three formats: ASCII, ARCGIS GRID, and GEOTIFF. All these topographic / hydrological analysis data can be downloaded free of charge from the Environmental Big Data Platform (www.bigdata-environment.kr).

초록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형모델(DEM)을 이용하여 기존에 이미 구축된 총 20종의 지형/수분 분석도에 추가로 다양한 지형/수문 분석을 통해 지형 분석도 26종, 수문 분석도 6종 등 총 32종을 추가 구축하였다. 기존의 구축된 데이터와 같이 구축 범위는 남한 전체이며 해상도는 30 m이며 좌표계는 UTM-K 좌표이다. 구축된 자료 형태는 ASCII, ARCGIS GRID, GEOTIFF 등 3가지 형태로 남한 통판 자료와 행정구역 별로 제공된다. 이러한 모든 지형/수문 분석 데이터는 환경빅데이터 플랫폼(www.bigdata-environment.kr)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가능하다.

Geo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