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조 (목적)
이 규정은 지오데이터에 게재하고자 하는 논문의 투고에 관하여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간행횟수 및 간행일)
학술지는 연 4회(3월 31일, 6월 30일, 9월 30일, 12월 31일) 발간된다.
제3조(논문투고자격)
지질학, 생태학, 환경학, 해양학, 극지학, 우주항공 등 지구환경 분야에서 조사 및 활용된 데이터와 관련된 논문으로 데이터의 공유 및 재사용에 기여하는 독창성 있는 것이어야 한다. 단, 다른 데이터학술지에 게재되었던 것이나 심사중인 논문은 투고할 수 없다.
제4조(투고방법)
- 논문 투고 시 반드시 투고규정을 준수하여야 한다.
- 논문투고는 지오데이터 논문투고시스템(https://acoms.kisti.re.kr/member/goLogin.do?journalSeq=J000167)을 통해 접수한다.
- 논문 투고 시 관련 데이터를 함께 제출한다.
- 논문 투고 시 메타데이터를 작성하여야 한다.
- 논문 투고 시 시스템 안내에 따라 논문 기본정보를 작성하고, 심사용 논문파일에는 투고자 이름 및 소속 등이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 논문 투고 시, 연구윤리준수서약서, 저작권이양동의서 등을 포함하여 제출한다.
- 투고논문은 타 간행물에 발표 또는 투고되지 않은 것을 원칙으로 하며, 예외적인 경우(초청원고 등)에 대해서는 편집위원회의 결정에 따른다.
제5조(논문 종류 및 분량)
지오데이터에 투고가능한 논문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데이터 설명 논문
- 데이터 리뷰 논문
- 데이터 단보
논문의 분량은 2,000단어 내외로 한다.
제6조(논문 형식과 양식)
- 논문은 “MS워드”를 사용하여 작성한 파일을 제출한다.
- 사용 언어는 한글 및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
- 제목, 초록, 키워드, 본문, 참고문헌, 부록, 데이터 기술항목(메타데이터) 순으로 작성한다.
- 심사용 논문은 저자에 관한 사항과 사사(감사의 글)은 일체 표기하지 않는다.
제7조(초록 및 주제어)
- 원고에는 영문으로 제목, 초록, 저자, 참고문헌을 표기해야 한다.
- 초록은 데이터의 목적과 설명 등을 포함하되 초록의 길이는 300단어 내외로 한다.
- 원고에는 주요어 5개로 국문 및 영문으로 작성한다.
제8조(데이터 기술항목)
- 본 논문에 조사 및 활용된 데이터는 다음의 기술항목을 기술하되 영문으로 작성해야 한다.
데이터 기술항목
Sort |
Field |
Contents |
Essential |
Title |
데이터 제목 |
DOI name |
|
Category |
ISO 19115 Topic category 참조 |
Abstract |
요약설명 |
Temporal coverage |
데이터 수집기간 정보 |
Spatial coverage |
데이터 수집공간 정보(WGS84 권고) |
Personnel |
데이터 등록자, 소속, 이메일 |
CC License |
데이터의 CC라이선스 |
Optional |
Project |
수행과제명 |
Instrument |
수집 장비 |
- 데이터는 디지털객체식별자(Digital Objective Identification : DOI)를 기재하여야 한다.
제9조(본문)
- 원고는 한글 또는 영문으로 작성하되, 영문원고는 투고 전에 원어민의 검토를 받아야 한다.
- 원고의 제목은 국문과 영문으로 작성하고, 영문제목의 첫 글자와 제목 중 관사, 전치사 및 접속사를 제외한 각 단어의 첫 자는 대문자로 한다.
- 장, 절의 번호는 Ⅰ, 1, 1), (1), ①의 순서로 표시한다.
- 표는 보통선만으로 간결하게 표현해야 하며, 표번호는 상단에 붙여야 한다.
(예: <표 1>). 표 아래 설명을 기술할 때는 윗첨자 번호로 매겨 기술한다.
- 그림의 해상도는 200dpi 이상이어야 하며, 그림번호는 하단에 붙여야 한다. (예: <그림 1>)
- 각주는 사용할 수 없다.
- 본문 중 문헌인용의 경우 성과 발표 년도를 표기한다.
- 단위는 SI(Systeme International, 국제표준단위계)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oC, %, o, ', ''는 숫자와 붙여 쓰고 그 이외의 단위는 띄어 쓴다.
- 약어, 기호가 반복되어 사용될 경우, 처음 사용된 곳에 정확한 내용을 정의하거, 이후는 약어를 사용한다.
제10조(참고문헌 표기)
참고문헌은 영문으로만 작성해야 하며 본문이 끝난 뒤 기재한다. 참고문헌의 기재순서는 저자명의 알파벳순으로 기재한다. 아래의 양식 이외의 참고문헌은 CHICAGO 규정을 따른다.
- 학술잡지
- Hanemann M, Loomis J, Kaninnen B (1991) Statistical efficiency of 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 contingent valuation. Am J Agr Econ 73(4):1255-1263
- Morel Y, McWilliams J (1997) Evolution of isolated interior vortices in the ocean. J Phys Oceanogr 27(5):727-748
- Slifka MK, Whitton JL (2000) Clinical implications of dysregulated cytokine production. J Mol Med 78:74-80. doi:10.1007/s001090000086
- 단행본 (저서 및 연구보고서)
- Ornitz BE, Champ MA (2002) Oil spills first principles. Elsevier, Amsterdam, 653p
- Wada E, Hattori A (1991) Nitrogen in the sea: Forms, abundances and rate processes. CRC Press, Boca Raton, 208p
- Spickard PR, Daniel GR (2004) Racial thinking in the United States: Uncompleted independence.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Notre Dame, 361p
- FAO (2005) Mortality of fish escaping trawl gears. FAO, Rome, FAO Fisheries Technical Paper 478, 72p
- 학위논문
- Kim YH (2006) Numerical experiments on the North Korean Cold Current in the East Sea.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26p
- 단행본 일부 인용
- Fisher RV, Schmincke HU (1984) Volcaniclastic sediment transport and deposition. In: Kenneth P (ed) Sediment transport and depositional process. Blackwell, Edinburgh, pp 351-388
- Levin SA, Pacala SW (2003) Ecosystem dynamics. In: Maler KG, Vincert JR (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economics, vol 1. Elsevier, Amsterdam, pp 61-95
- 프로시딩
- Chung S-T, Morris RL (1978)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lasmid deoxyribonucleic acid from Streptomyces fradiae. In: Abstracts of the 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genetics of industrial microorganisms,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4-9 Jun 1978
- 웹 자원
- HRIA (2006) Coast Redwood. Humboldt Redwoods Interpretive Association. http://www.humboldtredwoods.org Accessed 20 Dec 2007
- 데이터셋(Dataset)
- Lamberf F (2008) Dust record from the EPICA Dome C ice core, Antarctica, Covering 0 to 800 kyr BP. doi:10.1594/PANGAEA.695995
제11조(최종원고 제출 및 출판준비)
논문게재가 확정된 후 최종 편집된 논문을 제출한다.
- 최종원고에는 논문저자의 인적사항을 기입한다.
- 저자가 국문에서 연명일 경우는 「ㆍ」으로 연결한다. 영문 표기는 이름과 성 순으로 표기하며, 이름과 성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하고 나머지는 소문자로 하고, 2인의 경우는 「and」로 연결하고, 3인 이상의 연명인 경우 「, 」로 연결하고 마지막 저자의 이름을 「and」로 묶어 표기한다.
- 저자의 순서는 주저자를 제1저자로 하고, 논문작성 공헌도에 따라 제2, 제3저자 순으로 배열한다. 교신저자가 주저자일 필요는 없다.
- 모든 저자명에는 윗첨자 1, 2로 소속기관명을 표시한다.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는 *을 표시하며, E-mail 주소를 표기한다.
- 소속은 소속기관명과 부서명, 주소는 우편번호까지 표기한다.
- 연구지원기관, 사사(감사의 글) 등은 참고문헌 앞에 기술한다.
- 최종논문 제출은 투고신청서 양식에서 제시한 연구윤리준수 확인서, 저작권이양동의서와 함께 제출한다.
부 칙
- 2019년 12월 1일 제정
- 2021년 1월 1일 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