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713-5004
We obtained detailed bathymetry and seafloor image datasets using multi-beam echo sounder and side scan sonar around Seonam at Ilsan beach in Ulsan.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9 to May 12, 2018, using a small vessel. The equipment used for the survey was R2Sonic's Sonic 2020 (Multi-beam Echo Sounder) and EdgeTech’s 4125 (Side Scan Sonar). The detailed bathymetry of the study area shows slightly different topographical features for each part around Seonam. The eastern and southern parts have steep slopes and the depth of the water in the areas deepens away from the surroundings of the submerged bedrock area adjacent to Seonam. The water depth in the western and northern part is shallower with a relatively gentle slope, compared to the eastern and southern parts. The rocky bottom zones are mainly distributed in the eastern part area with the water depth range of 3 to 9 m around the Seonam. Some rocky areas also appear in the western region. Seafloor backscatter image shows irregular, complex reflection patterns of acoustic intensity mainly in the eastern and western adjacent areas around Seonam, and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coastal waters, which are almost identical to the underwater rock zones with shallow water depth. The detailed bathymetry and seafloor image datasets around Seonam, using the multi-beam echo sounder and the side scan sonar, can be used as an essential data for environment habitat mapping.
본 연구는 울산 일산해변에 위치한 선암 주변 해역에 대해 해저지형 조사 및 해저면 영상탐사를 통해 정밀 해저 지형 및 해저면 영상 데이터셋을 획득하였다. 조사시기는 2018년 5월 9일부터 5월 12일까지 소형 선박을 이용하여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조사 장비는 다중빔 음향측심기(Multi-beam Echo Sounder)인 R2Sonic 사의 Sonic 2020와 해저면 영상탐사기인 Edgetech 사의 4125를 활용하였다. 연구지역의 정밀 해저 지형은 선암을 중심으로 각 구역별로 해저 지형 양상이 조금씩 다르게 나타난다. 동쪽과 남쪽해역의 수심은 선암 주변에 인접한 수중암반 지대를 벗어나면서 급경사를 이루며 깊어진다. 서쪽과 북쪽 해역의 수심은 동쪽과 남쪽 해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를 보이며 수심이 얕아진다. 연구지역에 분포하는 수중암반 지대는 선암 주변에 인접해서 수심 약 3 ~ 9 m 구간 범위에서 발달되어 있으며 동쪽 해역에 주로 다수 분포하고 서쪽 해역에도 일부 존재한다. 해저면 영상자료에서는 주로 선암 주변의 동쪽 및 서쪽 인접 지역, 그리고 북부 및 남부 연안 해역에서 불규칙하며 복잡한 반사 패턴의 음향강도가 나타나며 이는 얕은 수심 지형에서 존재하는 수중암반 지대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중빔 음향측심기와 해저면 영상탐사기 기반의 선암 주변 정밀 해저 지형과 해저면 영상 데이터셋은 서식지 환경 맵핑의 필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is conducting continuous quality management to provide reliable Kompsat-5 SAR image products to users. In this paper, the Kompsat-5 satellite operation, data processing, quality management, and data provision were described. The operation and image mode characteristics of the Kompsat-5 satellite from the image point of view were described, and th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image products provided to users were explained. In addition, image data acquisition, quality index measurement, and its results are described for quality management of SAR images. Finally, it explains how to search for and order Kompsat image product through the ARIRANG system to quickly provide users with image products whose quality has been confirmed through quality management. Kompsat product can be searched and ordered from the ARIRANG Satellite Search and Order System (https://ksatdb.kari.re.kr/arirang/).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사용자에게 신뢰성 있는 다목적실용위성 5호(KOMPSAT-5, K5) SAR 영상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인 품질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목적실용위성 5호 위성 및 운영, 자료 처리, 품질관리, 데이터 제공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다목적실용위성 5호 위성의 영상관점에서의 운영 및 영상모드 특성에 대해서 기술하였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영상제품의 분류 및 제품의 특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또한 SAR 영상의 품질관리를 위해 영상 데이터 획득, 품질인자 측정 및 결과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끝으로 지속적인 품질관리를 통하여 품질이 확인된 영상제품을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해 아리랑 시스템을 통한 다목적실용위성 검색 및 주문 방법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다. 다목적실용위성 영상제품은 아리랑 위성 검색 및 주문 시스템(https://ksatdb.kari.re.kr/arirang/)에서 검색 및 주문 가능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stribution and habitat status of 1 species of amphibian and 4 species in 1 genus of reptiles among “ecosystem-disturbing specie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rough the National Habitat Survey of Alien Species (2015-2021). As a result, Rana catesbeiana with 415 sites, Trachemys spp. with 513 sites, Pseudemys concinna with 174 sites, Pseudemys nelsoni with 66 sites, and Mauremys sinensis with 31 sites. Of the total habitat area of R. catesbeiana, the agricultural land area accounted for 46% and the used(urbanized/dry) area accounted for 15%. Of the total habitat area of T. spp, the ratio of agricultural land areas was 35%, and the ratio of used areas was 24%. These species were found to live mainly in reservoir areas with higher natural characteristics than in urbanized and dry areas. However, M. sinensis, which were introduced in early 2000 and have a small number of habitats, mainly inhabited agricultural land areas with high naturalness, with agricultural land areas accounting for 43% and used areas accounting for 29% of the total habitat area. Accordingly, a detailed study on the ecology and artificial release of the M. sinensis is needed.
본 연구는 외래생물 전국 서식실태조사(2015~2021년)를 통해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생물 중 양서류 1종과 파충류 1속4종을 대상으로 분포 및 서식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생태계교란 양서류인 황소개구리는 415개 지점, 파충류인 붉은귀거북류는 513개 지점, 리버쿠터는 174개 지점, 플로리다붉은배거북은 66개 지역, 중국줄무늬목거북은 31개 지점으로 도입시기가 오래된 황소개구리와 붉은귀거북류의 분포범위가 타 생태계교란 외래 거북류 보다 넓게 나타났다. 황소개구리의 전체 서식 면적 중 농업지역의 비율은 46%, 시가화·건조지역의 비율은 15%였다. 붉은귀거북류의 전체 서식 면적 중 농업지역의 비율은 35%, 시가화·건조지역의 비율은 24%로 나타났다. 이 종들은 시가화·건조지역보다 자연성이 높은 저수지 지역에서 주로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00년 초반에 도입되어 서식지역과 서식 개체수도 적은 중국줄무늬목거북은 전체 서식 면적 중 농업지역 비율이 43%, 시가화·건조지역 비율이 29%로 자연성이 높은 농경지역에 주로 서식하였다. 이에 따라 중국줄무늬목거북에 대한 생태적, 인위적 방사 등 면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KARI) is conducting continuous quality control to provide reliable optical image products to various users. This paper describes KOrea Multi-Purpose SATellites (KOMPSAT-3 and KOMPSAT-3A) characteristics, operation, and image collection mode in order to enhance satellite image application. Also, image product of the satellites and quality management of the image product are described in this paper. The KOMPSAT-3 launched in 2012 and KOMPSAT-3A launched in 2015 collected many imageries around the world and provide them to users through web. Users can search for images through web catalog and order new imaging task. The KOMPSAT images provided under the KARI control is expected to be great help for earth observation and satellite image application enhancement.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신뢰성 있는 광학 위성 영상 제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광학 위성 영상에 대한 품질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은 광학 위성 영상 제품 활용을 증진하기 위하여 다목적실용위성 3호와 다목적실용위성 3A호의 특징, 운영, 촬영 모드를 설명하였으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위성 영상 제품에 대한 설명과 위성 영상 제품 품질 관리를 기술하였다. 2012년에 발사된 다목적실용위성 3호와 2015년에 발사된 다목적실용위성 3A호는 전세계 다양한 지역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웹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는 카탈로그 검색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검색할 수 있으며, 신규 촬영 주문을 할 수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품질 관리하여 제공하는 다목적실용위성 광학 영상은 지구 관측 및 위성 영상 활용 증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Two geostationary satellites developed by th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and currently in operation are the GEO-KOMPSAT-2A (GK-2A) and the GEO-KOMPSAT-2B (GK-2B). The main instruments mounted on these satellites are the Advanced Meteorological Imager (AMI), the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II) and the Geostationary Environment Monitoring Spectrometer (GEMS). This paper briefly introduced the GK-2A and GK-2B programs including measurement principles and elements of the instruments. Moreover, the data formats, operational products, and applications are summarized.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개발하여 현재 운용 중인 정지궤도위성은 천리안위성-2A호와 천리안위성-2B호이며, 두 위성에 장착된 주 탑재체는 기상, 해양 및 환경탑재체이다. 본 논문에서는 천리안위성-2A호 및 천리안위성-2B호와 각 위성의 탑재체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하였으며, 탑재체의 관측 원리와 탑재체 관측 요소에 대해 기술하였다. 또한, 탑재체 데이터 포맷과 탑재체 산출물, 그리고 데이터 활용에 대하여 요약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