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GEO DATA : GEO DATA

OPEN ACCESS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GEO DATA > Volume 3(4); 2021 > Article
Article
Ecology
우리나라 도서지역의 담수어류 분포 데이터
윤희남, 신만석*
Distribution Data of Freshwater Fish in Korea Islands
Hee nam Yoon, Man-Seok Shin*
GEO DATA 2021;3(4):49-56.
DOI: https://doi.org/10.22761/DJ2021.3.4.007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1

국립생태원 에코뱅크팀, 충청남도 서천군 33657, 대한민국

EcoBank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n-gun, Chungcheongnam-do 33657,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 manhae@nie.re.kr
• Received: December 16, 2021   • Revised: December 21, 2021   • Accepted: December 23, 2021

Copyright © 2021 GeoAI Data Socie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 474 Views
  • 22 Download
  •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2006~2013년) 중 담수어류의 서식이 확인된 우리나라 73개 도서지역을 대상으로 담수어류의 분포현황에 대한 조사데이터를 수집 생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결과 한반도고유종 16종 및 환경부지정 유해외래어종 3종, 멸종위기종 1종을 포함한 11목 24과 79종의 62,265개체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우점종은 Carassius auratus로 전체 구성의 14.1%를 차지하였고, 아우점종은 Oryzias latipes로 13.2%를 차지하였다.
  •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distribution of freshwater fish species in 73 islands of South Korea, using the third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As a result of the survey, 62,265 individuals of 11 orders, 24 families, and 79 species, including 16 endemic species of the Korean Peninsula, three invasive alien species, and one endangered species, were identified. The dominant species were Carassius auratus and Oryzias latips, accounting for 14.1% and 13.2% of the total abundance, respectively.
환경부는 1989년부터 매 10년 주기로 전국의 자연환경에 대하여 지형·경관과 식생 및 동·식물 분포현황을 조사하여 왔다. 전국자연환경조사는 전국에 분포하는 주요 지형·경관, 식생 및 동·식물 등의 조사를 통해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의 물리환경에 대한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생물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체계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생태·자연도를 갱신하여 국토보전과 개발계획 수립 시 지침으로 활용함으로써 자연환경보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전국자연환경조사는 2014년부터 10년 주기에서 5년 주기로 1/25,000 축척의 전국 824개 도엽을 연도 별 나누어 식생 및 동·식물 9개 분야의 서식현황을 조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2006~2013년) 자료 중 우리나라 도서지역의 담수어류 분포현황에 대한 조사데이터를 수집 생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국립생태원은 2013년 10월에 설립되어 환경부의 전국자연환경조사 사업을 새롭게 매 5년 주기로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 제5차 전국자연환경조사(2019~2024년)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전국자연환경조사는 1/25,000 축척의 수치지형도를 기반으로 전국의 지형·경관과 식물, 식생, 곤충,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어류, 양서·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 9개 동·식물 분류군을 조사하는 국가단위의 조사사업이다. 본 연구는 전국자연환경조사 중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수행된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자료 중 도서지역의 담수어류 분포현황 조사자료를 수집하여 생산하였다
본 조사는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MOE, 2006)의 어류조사방법에 따라 포획도구는 투망(7 X 7 mm)과 족대(3 X 3 mm) 등을 사용하였으며, 하천의 크기나 유량 등에 따라 적절한 채집도구를 이용하였고, 채집 시간을 안배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현장에서 종을 동정하여 개체수를 기록한 후 대부분 방류하였고, 일부 표본은 현장에서 사진촬영을 실시하였다. 어종의 동정은 Kim (1997), Kim & Park (2002), Kim et al. (2005)에 따랐으며, 분류체계는 Nelson (2006)의 방식을 따랐다. 데이터는 국립생태원의 생태정보 종합시스템인 EcoBank의 데이터표준과 품질관리 절차를 준용하여 생산하였다.
본 연구는 에코뱅크(https://nie-ecobank.kr)에 구축된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2006~2013년) 어류 자료 중 담수어류가 서식하는 전국 70개 도서의 데이터를 추출하였으며, 각 섬의 위치는 좌표(wgs84 위경도)로 표기하여 수행되었다(Fig. 1).
본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2007년부터 2013년까지 봄(4~6월)과 가을(9~11월)에 조사된 제3차 전국자연환경 조사자료 중 담수어류가 서식하는 73개 도서지역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DJ2021-3-4-007f4.jpg
본 연구에서 담수어류가 서식하는 73개 도서지역에는 총 11목 24과 79종의 62,265개체의 어류가 확인되었다. 과별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24과 어종 중 망둑어과 어류가 24종으로 전체어류의 30%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잉어과어류가 23종(28%), 미꾸리과어류가 6종(7%)으로 우세한 특징을 나타내었으며, 그 외의 뱀장어과, 멸치과, 청어과 등 21과 어종은 1~2%를 차지하였다(Fig. 2). 본 연구의 우점종은 Carassius auratus로 8,797개체로 나타나 전체구성비의 14.1%를 차지하였고, 아우점종은 Oryzias latipes로 8,239개체(13.2%)가 확인되었다.
섬별 서식어류의 종수는 강화도 41종으로 가장 많은 담수어류가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제주도(28종), 영종도(28종), 진도(28종), 거제도(27종), 석모도(26종) 그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장 적은 종이 서식하는 지역은 생일도로 1종만이 출현하였다(Fig. 3).
우리나라 도서지역에 서식하는 한반도 고유종은 출현현황은 출현현황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도서지역에서 출현한 한반도고유종은 Acanthorhodeus gracilis, Coreoleuciscus splendidus, Squalidus gracilis, S. japonicus coreanus, Zacco koreanus, Hemiculter eigenmanni, Iksookimia hugowolfeldi, I. koreensis, I. longicorpa, Kichulchoia brevifasciata, Silurus microdorsalis, Liobagrus mediadiposalis, L. somjinensis, Odontobutis platycephala, Acentrogobius pellidebilis, Periophthalmus magnuspinnatus 의 16종 이었으며, 73개 도서 중 13개 도서에서만 서식이 확인되었다.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지정 1급종은 K. brevifasciata 1종으로 거금도에서만 출현하였으며, 유해외래어종은 Carassius cuvieri, Lepomis macrochirus, Micropterus salmoides 의 3종이 출현하였다. C. cuvieri는 교동도, 석모도, 강화도, 신도, 영종도, 안면도, 진도 제주도, 거제도 등 9개 섬지역에서, M. salmoides는 교동도, 석모도, 강화도, 영종도, 제주도 등 5개 섬지역에, L. macrochirus는 제주도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섬지역에 서식하는 전체 79종의 담수어류 중 1차담수어는 47종(59.50%), 2차담수어는 32종(40.50%)으로 1차담수어류의 종 풍부도가 더 높았다. 70개의 도서 중 송이도, 생일도, 울릉도 등 3개 섬을 제외한 모든 섬에서 1차담수어류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섬별 서식 어종수는 강화도, 제주도, 영종도, 진도, 거제도, 석모도 순으로 나타났는데, 제주도를 제외한 이들 섬은 섬면적이 비교적 넓고 육지와의 거리가 가까운 섬들로 담수어류의 종다양성은 섬의 면적에 비례하고 대륙과의 거리에 반비례한다(Gorman, 1979)는 내용과 대체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 brevifasciata는 환경부 지정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종으로 서식지는 수심이 낮고 바닥이 모래와 자갈로 이루어진 소(pool)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Yoo et al. 2019). 거금도의 하천은 I. koreensisI. longicorpa의 서식처와 유사한 중상류형태의 안정적인 하천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거금도의 K. brevifasciata 서식과 같이 섬지역의 고유종과 멸종위기종들의 서식은 생물서식처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Haigh et al., 2004; Wipfli et al., 2007). 따라서 고유종 및 멸종위기종이 서식하는 섬지역의 하천 보호와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외래종 중 C. cuvieri는 1978년에, L. macrochirus는 1973년에, M. salmoides은 1969년에 우리나라에 도입된 종으로 인위적인 이식을 통해 전국적으로 확산된 종이다(Yang et al. 2019). 본 연구에서 외래종의 분포가 확인된 도서지역은 유인도로 인위적인 이식 및 방류를 통한 분포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본 논문은 환경부의 재원으로 국립생태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습니다(NIE-전략연구-2021-01).
Fig. 1.
Map showing the studied islands in Korea.
DJ2021-3-4-007f1.jpg
Fig. 2.
Relative abundance of the fish families in the Islands, Korea.
DJ2021-3-4-007f2.jpg
Fig. 3.
Number of freshwater fish species inhabiting each Island.
DJ2021-3-4-007f3.jpg
Table 1.
Distribution of endemic species on the island.
Endemic specie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No.individuals Relative abundance (%)
Acanthorhodeus gracilis 26 62 18 106 0.2
Coreoleuciscus splendidus 112 112 0.2
Squalidus gracilis 5 72 77 0.1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470 16 151 637 1.0
Zacco koreanus 842 571 1413 2.3
Hemiculter eigenmanni 70 61 84 21 236 0.4
Iksookimia hugowolfeldi 20 53 73 0.1
Iksookimia koreensis 3 3 0.0
Iksookimia longicorpa 37 130 167 0.3
Kichulchoia brevifasciata 38 38 0.1
Silurus microdorsalis 3 3 0.0
Liobagrus mediadiposalis 10 10 0.0
Liobagrus somjinensis 24 24 0.0
Odontobutis platycephala 10 10 0.0
Acentrogobius pellidebilis 3 3 0.0
Periophthalmus magnuspinnatus 42 2 9 53 0.1
Number of species 2 2 2 1 1 1 1 4 1 3 1 4 5 2965 4.8

1. Gyodong Isl., 2. Seongmo Isl., 3. Ganghwa Isl., 4. Yeongjong Isl., 5. Anmyeon Isl., 6. Anjwa Isl., 7. Aphae Isl., 8. Jin Isl., 9. Jeju Isl., 10. Geogeum Isl., 11. Changseon Isl., 12. Namhae Isl., 13. Geoje Isl.

  • Gorman ML (1979) Island ecology. Chapman and Hill, New York, p. 22–27
  • Haigh MJ, Jansky L, Hellin J (2004) Headwater Deforestation: A Challenge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Sci Tech 14:51–61Article
  • Kim IS (1997)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37, Freshwater fishes Ministry of Education; 627.(in Korean)
  • Kim IS, Park JY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ress Co., Seoul, p. 1–465. (in Korean)
  • Kim IS, et al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sa, p. 615.(in Korean)
  • MOE (2006) 3rd Natural environment survey (2006-2012). Ministry of environment (MOE) (in Korean)
  • Nelson JS (2006) Fishes of The World. 4th ed. New Jersey: John Wiley and Sons Inc., Hoboken, pp 397-398
  • Yang GB, et al (2019) Inhabiting Status of Invasive Fish in korea. Proc Korean Soc Environ Ecol Con 2019(1):81–81
  • Yoo SH, et al (201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reshwater Fish Community in the Small Streams in Geogeumdo Island, Korea. Han Gug Eoryu Hag Hoeji 31(4):241–248. (in Korean)Article
  • Wipfli MS, Richardson JS, Naiman RB (2007) Ecological linkages between headwaters and downstream ecosystems: transport of organic matter, invertebrates, and wood down headwater channels. J Am Water Resour Assoc 43(1):72–85
데이터셋에 대한 메타데이터
Sort Field Subcategory#1 Subcategory#2
Essential *Title Korea islands Distribution of freshwater fish
*DOI name 10.22761/DATA2021.3.4.086 -
*Category Biota
Abstract Distribution data of freshwater fish in Korean islands Distribution data of freshwater fish 70 islands in Korea
*Temporal Coverage 7 Years From 2007 to 2013
*Spatial Coverage Address Islands in Korea
WGS84 Coordinates WGS84 Coordinates
Latitude 33.08°N~38.61°N
Longitude 124.85°E~131.93°E
*Personnel Name Heenam Yoon
Affiliation EcoBank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E-mail ecospace@nie.re.kr
*CC License Public data CC BY-NC
Optional *Project Natural environment survey 3rd Natural environment survey
*Instrument Throwing net, dredge (Jokdae) Mesh standard
Throwing net : 7x7mm, Dredge (Jokdae) : 3x3mm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Figure

      GEO DATA : GEO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