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GEO DATA : GEO DATA

OPEN ACCESS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GEO DATA > Volume 5(4); 2023 > Article
Original Paper
시민참여 전국자연환경조사 데이터의 특성
강다인1orcid, 박규령2orcid, 최승세3orcid, 이태우4,*orcid
Characteristics Citizen Participation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Dain Kang1orcid, Gyuryeong Park2orcid, Seung Se Choi3orcid, Tae Woo Yi4,*orcid
GEO DATA 2023;5(4):321-329.
DOI: https://doi.org/10.22761/GD.2023.0038
Published online: December 22, 2023

1전임연구원, 국립생태원 자연환경조사팀,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금강로 1210, 33657, 대한민국

2연구원, 국립생태원 자연환경조사팀,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금강로 1210, 33657, 대한민국

3팀장 직무대리, 국립생태원 자연환경조사팀,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금강로 1210, 33657, 대한민국

4팀장, 국립생태원 생태계서비스팀,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금강로 1210, 33657, 대한민국

1Associate Researcher, National Ecosystem Survey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1210 Geumgang-ro, Maseo-myeon, Seocheon-gun, 33657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2Researcher, National Ecosystem Survey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1210 Geumgang-ro, Maseo-myeon, Seocheon-gun, 33657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3Team Leader, National Ecosystem Survey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1210 Geumgang-ro, Maseo-myeon, Seocheon-gun, 33657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4Team Leader, Ecosystem Services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1210 Geumgang-ro, Maseo-myeon, Seocheon-gun, 33657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Corresponding Author Tae Woo Yi Tel: +82-41-950-5450 E-mail: ytw117@nie.re.kr
• Received: October 25, 2023   • Revised: December 4, 2023   • Accepted: December 6, 2023

Copyright © 2023 GeoAI Data Socie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 269 Views
  • 10 Download
  • Citizen participation data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expert. Understanding the unique attributes of citizen participation data and considering the disparities between such data and that collected by experts is of paramount importance to harness citizen-generated data effectively. In this regard, location information was presented for five taxa of plants, insects, birds, amphibians, and mammals nationwide surveyed by citizens in 2022, excluding endangered species. Additionally, species information and administrative district information are included. It is anticipated that the integra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survey results with expert research findings will enhance the efficacy of natural ecological monitoring. By directly collecting ecological data, which becomes the basic data for natural environment policy, opportunities for public participation in natural environment policy will be expanded, and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raise awareness of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전국자연환경조사는 「자연환경보전법」 제30조에 의하여 전국의 지형, 식생 및 동·식물 등의 자연환경 현황과 변화를 파악하는 조사이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국가의 자연환경보전 대책을 수립하고, 생태·자연도를 갱신하여 국토의 보전과 개발 시 자연환경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수행하고 있다(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22a). 지금까지의 생태계 조사는 전문가의 주도로 진행되었으나, 시민들의 무관심으로 이어져 생태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게 되었다(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9). 또한, 전문 조사원에 의한 산지 중심의 조사는 지역고유종이나 도시종에 대한 조사의 한계를 가졌다. 시민참여는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적절하며, 전국자연환경조사의 광범위한 종 출현 정보 파악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시민참여를 도입하였다(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22a). 시민참여는 비전문가(시민)의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과학자료 수집 기술로서 과학연구의 모든 또는 일부 과정에 시민이 참여하는 프로젝트를 지칭한다(Chang and Han, 2008).
유럽연합(EU)은 유럽 생물다양성 모니터링(EuMon)을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진행하였다. 28개국에서 생물다양성 모니터링에 참여하였고 조사 주체가 시민이라는 점과 시민이 자원봉사자로 지원하여 모니터링 조사를 수행하였다. 시민들은 지침을 적용하여 조사를 수행하고, 통일된 양식에 결과를 입력함으로 조사 결과를 제출한다. EuBon 프로젝트는 이 데이터의 가용성과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털을 마련하였고 생물다양성 데이터를 위한 시민과학 전략 로드맵을 세웠다(EUBON, 2017). 일본에서도 자연환경조사를 위해 전국에 1,000개 정도의 모니터링 지역을 선정하고 대학, 연구기관, 지역NPO 및 자원봉사자들이 장기간 동안 기본적인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모니터링 사이트 1000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Jung, 2018). 시민이 주체가 되는 현장조사를 수행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은 지속 가능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중요하고 자연환경 정책의 기반 자료를 직접 마련하는 등 대국민 정책참여 기회가 확대된다(Kim and Youn 2018;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22a).
시민참여 데이터는 전문조사원과는 다른 특징을 가진다. 시민참여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시민참여 데이터의 특성을 파악하고 전문조사원 데이터와의 차이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데이터는 시민들이 조사한 전국의 식물, 육상곤충, 조류, 양서류, 포유류 5개 분류군에 대한 위치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조사 결과에 행정적 특징을 파악할 수 있도록 행정 경계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였다. 본 데이터는 시민 참여 데이터를 이해하고 넓은 범위에서 시민참여를 활용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자연 생태계 보전 및 관리에 활용할 가치가 높다.
2.1 자료 취득
전국에 있는 시민조사원들이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사진을 찍어 게시하는 형태의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Fig. 1). 촬영된 사진은 국립생태원 EcoBank (국제생태정보종합은행)에 등록한다. EcoBank 플랫폼에서는 사진의 기본정보(자료명, 분류군, 종명, 등록일자), 사진의 위치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시민조사원의 안전을 위해 식물, 육상곤충, 조류, 양서류, 포유류 5개 분류군에 국한하여 조사를 진행 중이다(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22b).
시민참여조사원은 해당 분야 비전문가로 조사 자료 생산 및 종동정 오류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각 분야 박사과정 이상의 전문가로 구성된 종동정 검수반이 시민들이 업로드한 자료를 검수하여 종 목록을 확정하여 승인 혹은 반려할 수 있다. 정확한 동정을 위해 시민조사원은 개체 식별이 가능하도록 3장 이상의 근거리, 원거리, 근접 사진을 업로드하여야 한다(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22b)
2.2 시민참여조사 개요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일환으로 시행된 시민참여조사는 2019년부터 시행하였다. 생태계를 잘 알고 있는 지역주민 등을 통해 지역고유종을 조사, 발굴하여 단기간 내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자연생태계 보전, 관리에 활용하는 것이 목적이다(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22a). 시민 참여자 모집은 상시 이루어지며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지자체, NGO 등을 통해 관련 분야의 관심도가 높은 시민을 추천받아 활동을 시작한다. 8개 지차체 57명으로 시작한 시민참여조사는 해를 거듭할수록 참여자가 증가하여 2023년 현재 시민참여자 수는 750여 명이며 전국에 분포하고 있다. 조사 범위는 전국으로 거주지 및 방문지역 등 제약이 없으며 시민참여조사 매뉴얼을 참고하여 개인이 가지고 있는 모바일기기 등을 활용하여 사진을 찍어 게시하는 형태의 조사로 이루어진다. 본 데이터는 전문가의 검증을 통해 승인되기 때문에 오동정률이 0%이며, 본 연구에서는 시민참여조사사업의 2022년 자료 중 승인된 데이터만을 활용하였다. 전국자연환경조사 도엽을 기반으로 2022년 4월 1일부터 2022년 10월 31일까지 520명의 시민이 참여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22a).
2.3 자료 분석 및 구축
조사 결과 데이터에 기록된 좌표를 기반으로 점 형태의 백터 형식 공간정보를 구축하였다. 각 조사지점의 조사된 종과 위치지점, 조사지점의 행정적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행정구역 정보를 취득하여 속성 정보에 포함하였다. 최종 구축된 속성 정보는 Table 1과 같으며 구축된 정보를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와 비교하여 데이터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시민참여 데이터의 분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지점에 대해 커널밀도 분석과 5개 분류군에 대한 분포도를 작성하여 시각화하였으며 가장 많이 조사된 상위 15개종을 제시하였다. 전국자연환경조사 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해 시군구 단위로 조사 빈도를 원의 크기로 표현하여 비교하였다.
3.1 2022년 시민참여조사 결과의 특징
2022년 한 해 동안 조사된 자료의 수는 멸종위기종을 포함하여 총 18,829건이다(Table 2). 가장 많이 확인된 분류군은 식물로 9,787지점에서 확인되었고, 조류 5,827지점, 육상곤충 2,890지점, 양서류 223지점, 포유류 102지점 순이었다. 멸종위기야생생물은 총 743지점에서 확인되었으며 조류 686지점, 식물 21지점, 양서류 16지점, 곤충 14지점, 포유류 6지점이었다. 지자체별 가장 많이 조사가 이루어진 행정구역은 충청남도로 3,485지점에서 시민조사가 수행되었고 부산(3,258지점), 경기도(3,105지점) 순이었다(Table 3, Figs. 2-4). 해안가, 섬 주변, 섬 주변의 다리, 간척지 등 조석 간만의 차이, 지도 작성 시 시기 차이 등의 이유로 행정구역 내에 해당하지 않으나 조사가 이루어진 경우도 1,383건이 있었다.
시민조사원들이 가장 많이 발견한 종은 왜가리로 155건이 조사되었고, 중대백로, 흰뺨검둥오리, 직박구리, 딱새, 박새, 쇠백로, 참새 순이었다(Table 4). 조사 자료는 식물이 9,787건으로 가장 많은데 단일 종의 조사 빈도는 조류가 높았다.
3.2 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와의 비교
2022년 시민참여조사 결과 18,829건 중 조사지점이 가장 많은 종 1-9위까지를 차지하고 있는 조류와 조사 빈도가 가장 많은 분류군인 식물을 대상으로 전국자연환경조사와 시민참여 조사 결과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조사 분포와 상위 10종을 비교하였다.
조류의 조사 분포를 분석한 결과 시민참여조사원은 수도권, 부산, 해안가 근처에 위치한 충청남도 일부지역의 조사 빈도가 높았고 전문가 조사 빈도는 전국이 대체로 일정하였다(Fig. 5). 전문가는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취지에 맞게 전국을 모두 조사하였지만 서울과 부산 등 대도시 주변의 조사 빈도는 다소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물의 시민참여조사 분포도 조류와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다. 전문가는 강원도와 충북 일부지역에 많은 조사가 이루어졌고, 수도권, 부산 지역에서의 조사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었다(Fig. 6). 조사 분포를 분석한 결과 시민참여 데이터는 전문조사원들의 조사 빈도가 낮은 지역에 대한 조사 결과를 활용하기에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조류는 왜가리, 직박구리, 딱새, 박새 등 유사한 종이 상위 종에 있었으나 전문조사원은 큰부리까마귀와 같은 숲 속에 주로 서식하는 종, 시민조사원은 흰뺨검둥오리와 같은 도심지 근교 하천에서 주로 볼 수 있는 종들이 조사되었다(Table 5). 전문조사원이 조사한 식물 중 발견 빈도가 높은 종은 생강나무, 산초나무, 국수나무 등 대체로 산지에서 주로 볼 수 있는 교목이 대부분이었고, 시민조사원이 조사한 식물 종 발견 빈도가 높은 종은 개망초, 미국자리공, 박주가리 등 도심지에서 주로 볼 수 있는 초본이 대부분이었다(Table 6). 조류와 식물의 분포와 조사된 종의 발견 빈도가 높은 종을 비교하였을 때 시민조사원의 조사 결과는 전문가가 놓칠 수 있는 생활밀착지역의 조사, 지역 고유종 등에 대한 보완책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본 데이터는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여 조사한 위치와 종 정보에 행정 정보를 추가하여 조사 분포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충청남도 지역의 정보가 가장 많았고, 분류군 중 식물, 단일종은 조류의 정보가 많았다. 멸종위기야생생물은 총 743지점에서 확인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전문가의 검증을 통해 최종 승인되기 때문에 신뢰성 또한 높다.
본 데이터 수집 방법은 모바일기기를 활용한 자료 업로드 및 전문가 검증, 데이터 서비스까지 한번에 가능한 자료수집 체계를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데이터 수집 체계를 생태조사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활용한다면 국가 생태계 관리 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시민참여조사의 지점은 자신의 주거지 인근을 주요 활동지역으로 조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매년 같은 지역의 생물종을 관찰함으로써, 계절이나 시간에 구애를 적게 받아 전문 조사원이 파악하기 어려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22a). 실제 전문조사원들이 조사한 결과와 목록에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개망초와 같이 도심지에서 발견되는 종의 발견 빈도가 높았다. 산지 등에서 조사가 주로 이루어지는 전문가 조사 결과와 함께 거주지 등에서 조사한 시민참여 조사 결과를 활용한다면 조사가 되지 않는 사각지대가 줄어들고, 지속적으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여 자연생태 모니터링의 효과가 증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자연환경정책의 기초자료가 되는 생태자료를 직접 수집함으로써 대국민 자연환경정책참여 기회가 확대되고 이를 통한 자연환경보전 등에 대한 인식제고가 가능할 것이다.
수집된 데이터는 멸종위기야생생물조사 결과 및 자연환경조사 보고서에 반영되며, 추후 조사계획을 세울 때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거주지 등 생활인 접지역의 위주로 조사가 수행되기 때문에 자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17조에 따라 도시지역의 상세한 생태∙자연도(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 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생태네트워크 구축, 도시계획 시 녹지의 지정을 위한 대상지 선정 등 정책의 기초자료로서 활용성이 높을 것이다.

Conflict of Interest

On behalf of all authors, the corresponding author states that there is no conflict of interest.

Funding Information

This study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NIE), fund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E) of the Republic of Korea (NIE-A-2023-01).

Data Availability Statement

The data that suppor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openly available in ecobank at http://doi.or.kr/10.22756/GEO.20230000000830.

Fig. 1.
Citizen investigator recruitment process.
GD-2023-0038f1.jpg
Fig. 2.
Survey Proportion by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and taxon.
GD-2023-0038f2.jpg
Fig. 3.
A kernel density map which indicates the concentration of survey points.
GD-2023-0038f3.jpg
Fig. 4.
Five taxonomic distribution map.
GD-2023-0038f4.jpg
Fig. 5.
Comparison map of bird survey results (citizen, expert investigator). (A) Citizen investigator. (B) Expert investigator.
GD-2023-0038f5.jpg
Fig. 6.
Comparison map of plant survey results (citizen, expert investigator). (A) Citizen investigator. (B) Expert investigator.
GD-2023-0038f6.jpg
Table 1.
Description of attribute field in dataset
Field name Alias (in Korean) Description Data source Publisher
ID 구분 ID of recoding point Citizen National Ecological Survey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C_NAME 자료명 Common name (in Korean) of recoded species by citizen investigator
TAXON 분류군 Taxon
E_NAME 종명 Common name (in Korean) of recoded species by expert investigator
R_DATE 등록일자 Registration date
A_DATE 승인일시 Accept date
LAT 위도 Latitude
LON 경도 Longitude
A_DIST 행정구역 Administrative district Digital map for administrative district in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able 2.
Survey points quantity by taxonomic group
Rank Taxon Number of survey points Endangered species count
1 Plant 9,787 21 (8 species)
2 Bird 5,827 686 (56 species)
3 Insect 2,890 14 (7 species)
4 Amphibian 223 16 (3 species)
5 Mammal 102 6 (3 species)
Total - 18,829 743
Table 3.
Survey points quantity by administrative district
Administrative district Insect Plant Amphibian Bird Mammal Total
Seoul 141 (16.9) 376 (45.0) 7 (0.8) 304 (36.4) 7 (0.8) 835
Busan 379 (11.6) 2,142 (65.7) 9 (0.3) 718 (22.0) 10 (0.3) 3,258
Daegu 78 (27.2) 49 (17.1) 1 (0.3) 159 (55.4) 0 (0.0) 287
Incheon 437 (19.4) 1,034 (45.9) 27 (1.2) 749 (33.2) 8 (0.4) 2,255
Gwangju 3 (11.5) 16 (61.5) 0 (0.0) 3 (11.5) 4 (15.4) 26
Daejeon 6 (9.2) 30 (46.2) 1 (1.5) 22 (33.8) 6 (9.2) 65
Ulsan 76 (13.3) 321 (56.2) 4 (0.7) 167 (29.2) 3 (0.5) 571
Sejong 5 (3.4) 140 (94.0) 2 (1.3) 2 (1.3) 0 (0.0) 149
Gyeonggi-do 567 (18.3) 1,504 (48.4) 72 (2.3) 937 (30.2) 25 (0.8) 3,105
Gangwon-do 63 (7.6) 658 (79.7) 19 (2.3) 78 (9.4) 8 (1.0) 826
Chungcheongbku-do 120 (28.2) 286 (67.1) 9 (2.1) 11 (2.6) 0 (0.0) 426
Chungcheongnam-do 637 (18.3) 1,802 (51.7) 25 (0.7) 1,009 (29.0) 12 (0.3) 3,485
Jeollabuk-do 49 (10.7) 174 (38.1) 2 (0.4) 226 (49.5) 6 (1.3) 457
Jeollanam-do 34 (14.1) 135 (56.0) 3 (1.2) 69 (28.6) 0 (0.0) 241
Gyeongsangbuk-do 55 (13.9) 232 (58.7) 2 (0.5) 104 (26.3) 2 (0.5) 395
Gyeongsangnam-do 135 (15.2) 480 (54.1) 14 (1.6) 252 (28.4) 6 (0.7) 887
Jeju-do 64 (36.0) 56 (31.5) 20 (11.2) 38 (21.3) 0 (0.0) 178
Etca) 41 (3.0) 352 (25.5) 6 (0.4) 979 (70.8) 5 (0.4) 1,383
Total 2,890 (15.3) 9,787 (52.0) 223 (1.2) 5,827 (30.9) 102 (0.5) 18,829

The value within the parentheses represents a proportion.

a) Areas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land area, such as island outside and reclaimed land, but have survey coordinate points.

Table 4.
List of species in the top 15 populations of recorded
Rank Taxon Common name (in Korean) Scientific name Number of survey points
1 Bird 왜가리 Ardea cinerea 155
2 Bird 중대백로 Ardea alba modesta 128
3 Bird 흰뺨검둥오리 Anas poecilorhyncha 120
4 Bird 직박구리 Microscelis amaurotis 113
5 Bird 딱새 Phoenicurus auroreus 105
6 Bird 박새 Parus major 92
7 Bird 쇠백로 Egretta garzetta 92
8 Bird 참새 Passer montanus 91
9 Bird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85
10 Plant 개망초 Erigeron annuus 74
11 Bird 까치 Pica pica 72
12 Plant 미국자리공 Phytolacca Americana 71
13 Bird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71
14 Bird 청둥오리 Anas platyrhynchos 71
15 Plant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70
Table 5.
List of species in the top 10 populations of recorded in Citizen Participation Survey and 4th National Ecological Survey (bird)
Rank Citizen Participation Survey
4th National Ecological Survey
Common name (in Korean) Scientific name Common name (in Korean) Scientific name
1 왜가리 Ardea cinerea 직박구리 Microscelis amaurotis
2 중대백로 Ardea alba modesta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3 흰뺨검둥오리 Anas poecilorhyncha 참새 Passer montanus
4 직박구리 Microscelis amaurotis 까치 Pica pica
5 딱새 Phoenicurus auroreus 박새 Parus major
6 박새 Parus major 딱새 Phoenicurus auroreus
7 쇠백로 Egretta garzetta 왜가리 Ardea cinerea
8 참새 Passer montanus 붉은머리오목눈리 Paradoxornis webbianus
9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중대백로 Ardea alba modesta
10 까치 Pica pica 큰부리까마귀 Corvus macrorhynchos
Table 6.
List of species in the top 10 populations of recorded in Citizen Participation Survey and 4th National Ecological Survey (plant)
Rank Citizen Participation Survey
4th National Ecological Survey
Common name (in Korean) Scientific name Common name (in Korean) Scientific name
1 개망초 Erigeron annuus 생강나무 Lindera obtusiloba Blume
2 미국자리공 Phytolacca americana 산초나무 Zanthoxylum schinifolium
3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국수나무 Stephanandra incisa
4 왕고들빼기 Lactuca indica 산딸기 Rubus crataegifolius Bunge
5 달맞이꽃 Oenothera biennis Pueraria lobata
6 까마중 Solanum nigrum 개망초 Erigeron annuus
7 닭의장풀 Commelina communis 주름조개풀 Oplismenus undulatifolius
8 미국쑥부쟁이 Aster pilosus 붉나무 Rhus javanica
9 애기똥풀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사위질빵 Clematis apiifolia
10 괭이밥 Oxalis corniculata 작살나무 Callicarpa japonica
Metadata for Dataset
Sort Field Subcategory#1 Subcategory#2
Essential *Title Dataset of citizen participation National Ecosystem Survey
*DOI name http://doi.or.kr/10.22756/GEO.20230000000830
*Category Citizen participation National Ecosystem Survey
Abstract
*Temporal Coverage 1 year 2022
*Spatial Coverage Address None
WGS84 Coordinates Point
Latitude 33.11°N-38.53°N
Longitude 125.18°E-129.57°E
*Personnel Name Dain Kang
Affiliation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E-mail kangdi@nie.re.kr
*CC License CC BY-NC
Optional *Project 5th National Ecosystem Survey Citizen participation National Ecosystem Survey
*Instrument QGIS 3.10.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Figure

      GEO DATA : GEO DATA